Q. 아이의 언어발달을 돕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상담에 앞서이런 마음가짐을 가지신 것만 해도 이미 아이의 언어발달에 큰 힘이 되고 계심을알려드리고 싶네요.언어는 모방이기도 하지만 가장 중요한 원칙은 이기 때문이죠.그래서 하루종일 교육방송을 켜놓는다고 말 잘하는 아이가 되는 게 아닌 것도이 때문입니다.자주 눈을 마주치시고 아이와 상호작용을 한다는 자체가이미 90%의 교육이 이루어진 셈이에요.거기에 10%만 더하자면아이가 하는 말을 앵무새처럼 따라서 질문해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단, 이 때 천천히 또박또박 말씀하시도록 노력하시면 더 좋아요.예를 들어 아이가 라고 말하면 라고 되묻는 것입니다.추가로,앞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동영상을 보는 시간을 줄이는 것도매우 중요합니다.상호작용없는 언어를 계속 듣게 되면오히려 그외 언어자극에 대해서도 무심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18개월아기. 뭐만하면 아씨 아나씨.. ㅜㅜ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아시다시피, 18개월 아기는 라는 말의 의미를 전혀 모르겠지요.아마 초반에 발음이 되니까 자꾸 해보고 싶었을 것이고,이런 소리를 내면 주변의 관심을 받으니까 습관이 됐을 것입니다.(그런데 정말 발음이 잘 되나요?이 나이에 거의 하지 못하는 발음인데요)이런 경우 혼내면, 아이는 이해를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으로 느껴서 보상작용이 되므로해당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따라서,아이가 계속 그 소리를 내더라도 마치 들리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시면곧 습관이 사라질것입니다.걱정마시고 오늘부터 해당소리에 대해서만 들리지 않는 척 모른척 해보세요.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3살아기 처방받은 감기약 감기가 나아도 모두 먹여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흔히 항생제를 먹이면 건강에 나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아요.그러나, 항생제를 조심해서 먹이는 이유는 항생제 자체의 부작용 보다는 이 생길까봐 입니다.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면 정말로 감염이 심각할 때 쓸 약이 없다거나, 아주 센 약을 써야한다는 것이지요.그렇다면,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주된 이유가 무엇일까요.1. 항생제를 수시로 바꾸며 너무 자주 쓰게 되는 경우2.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동안 쓰지않아 을 생기게 하는 경우이 2가지 입니다.먼저, 항생제를 처방하션다면아이는 가 아닐꺼에요.감기는 바이러스니까, 항생제가 필요없지요,주치의 선생님께서는 아마 세균감염이 있다고 생각하신 듯하며,이런 경우 항생제를 복용후 48시간 내지 72시간 사이에 열이 떨어지게 됩니다.그러나 실제 균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며 일시적으로 약해져 있는 정도입니다.만약 이때 약이 중단되면 내성균을 유발하기 쉽고, 이는 당장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습니다.가장 좋은 방법은,내일 병원에 가셔서 아이의 상태를 검사받고결정하시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육아관련 책추천해주실분찾ㅂ니다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 청소년과의사입니다.아마 제가 들은 질문 중에서 가장 어려운 질문같네요.지금까지 시중에 많은 육아서가 있었지만어쩐지 모두들 유행을 타면서 수시로 말이 바뀌는 경우가 많았을 뿐 아니라,그 중에 꽤 유명한 책들조차 오히려 할 때도 많았기에차마 권해드리기가 힘드네요.다만,가장 믿음이 가고 과학적이며, 일관된 육아서로는 선생님의 육아서 및 우리아이 119 등을 권합니다.다만, 다른 육아책들에 비해 읽기가 썩 즐겁거나, 쉽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그렇지만, 비상 상황에서 해당 페이지를 찾아보시면 큰 도움을 받으실 거예요.추천할 만한 유일한 책이라고 봅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Q. 아이들에게 경제관념을 알려주려면 어떤방법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정소원 소아청소년과 의사입니다.집에서 과자 가계를 경영하시다니 아주 기발하고 좋은 방법인 듯합니다.다만, 지금 방식에서 다음을 추가하면 어떨지 권유 드리고 싶네요.제가 많이 말씀드리는 중에 가 있습니다.즉, 대신, 가정 내 화폐로 를 사용하게 하는 것입니다.스티커는 문구점에서 꼭 아이가 선택하게 하시고아이가 많이 모을수록 놀이공원에 가거나 하는 큰 보상을 약속하시면 어떨까요.스티커가 뭐 대단하냐 생각하시겠지만, 요즘 유명한 포켓몬 빵만 보셔도얼마나 영향이 큰지 짐작하실 수 있을 거예요.또한 많이 모아서 보상을 받게 하고 특별이 5개 이상 모으면 스티커를 서비스로 하나 더 준다든지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및 효과를 느끼게 하실 수도 있어요.이는 유명한 책인 처럼참고 인내하며 장기적인 행복을 꿈꾸게 하는 효과도 있답니다..여기에 더해 꼭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즉시적인 보상의 형태로 주는 과자나 초콜릿은양의 많고 적음과 상관없이 썩 권하고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우리가 흔히 라고 부르는 게 있는데요.어렸을 때 광고에서 화목한 가정이 맥도날드에서 식사를 하는 것을 자주 보거나또는 실제 부모님이 주말마다 외출 시 맥도날드에 가시게 되면아이의 두뇌에선 정크푸드 = 행복의 열쇠라는 잘못된 방정식이 입력됩니다.즉, 이후에 성인이 되어서도 정크푸드를 먹어야 기분이 좋아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게 되는 거죠.물론 과자도 어느 정도 아이에게 주어져야 하나 주된 보상의 형태로 주어지면아이는 어머님께서 원하시는 심부름 = 칭찬 = 돈 = 행복... 이 아닌심부름 = 과자 = 행복 이란 공식이 뇌에 새겨질 수도 있습니다.그 외에 스티커를 많이 모으면장난감을 사준다든지 더 많이 모으면 놀이동산에 가게 된다든지 하는약속의 형태가 추천됩니다.아이는 인내로 보상의 크기가 커짐을 함께 느끼게 될 것입니다.현명한 육아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