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태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태화 전문가입니다.
정태화 전문가
노무법인 씨앤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1년 11월 4일 작성 됨
Q.
퇴직금 발생조건의 기준을 알고 싶어요?
퇴직금은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1년 이상 계속 근로 후 퇴직 시에 발생됩니다. 퇴직금은 법에서 정한 사유 외에는 퇴직 전에 정산할 수 없으며 퇴직 시에 발생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퇴직금의 간단한 계산방법은 퇴직 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기간(년) 입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2일 작성 됨
Q.
4대 보험 중복 가입 및 직장 신고 문의?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은 회사에서 다른 곳에 근무하는 것은 알아보지 않는 이상 알기 쉽진 않습니다.다만 만약 두번째 직장의 월 급여가 더 많아서 고용보험이 두번째 직장으로 취득되고 원래 직장에서의 고용보험이상실되는 경우에는 알 수도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2일 작성 됨
Q.
퇴지금 선지급관련 질문드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은 원칙적으로 퇴직 시에 지급해야합니다.법에서 정한 퇴직금중간정산사유(예를들어 무주택자의 주택구입 등)가 아니라면 퇴직금 중간정산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만약 중간에 지급하신다면 나중에 퇴사 시에 퇴직금을 차액을 지급하셔야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퇴직급여 계산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금은 퇴직 직전 3개월의 평균임금을 가지고 계산됩니다. 따라서 퇴직 직전의 임금이퇴직금에 영향을 줍니다. 1년 전체 기간을 대상으로 평균임금을 산정하지 않습니다. 퇴직금 산정내역이 상이할 경우 회사에 산정내역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밀린퇴직금 어떻거해야 일시불로받을수있는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선 관할 노동청에 퇴직금 미지급으로 진정을 제기하시면 됩니다. 퇴직금을 못받은 정황이 충분히 있으시다면 직접 진정을 제기하셔서 사건을 진행해보시고사건진행이 조금 어려운 경우에 노무사를 선임하셔서 사건 대리를 맡기셔도 됩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일용직도 퇴직금을 받을수 있다고 하는데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용직이라도 계속근로하여 연속성이 있는 상태로 1년 이상 근로를 제공한다면 퇴직금을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퇴직금을 받지 않겠다는 확인서를 사전에 작성한다하더라도 이는 법을 위반하기로한 계약으로서 무효입니다.퇴직금 등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 퇴직금을 청구하실 수 있으며 사업주가 계속 거부할 경우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도움을 청하시길 바랍니다.
임금·급여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실업급여 수급기간이 전 직장까지 포함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고용보험법에 따르면 이직일 이전 18개월 간이므로 이전 18개월까지는 전 직장이라도 기간에 포함됩니다.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초단시간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일 것
휴일·휴가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4시간근로자입니다ㆍ휴게시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제54조(휴게) ① 사용자는 근로시간이 4시간인 경우에는 30분 이상, 8시간인 경우에는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주어야 한다. ② 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휴게시간은 법으로 부여하도록 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휴게시간을 부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휴게시간은 매장 내 외로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일·휴가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5인 미만 사업장 유급휴가 관련 질문 드립니다.ㅜ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더 자세한 사실관계를 봐야 하겠지만 타 지역에 따로 독립하여 운영하는 사업장이라면 질문자님이 근로하였던 사업장과 합산하여근로자 수를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으로 연차부여는 의무가 아닐 것으로 판단됩니다.
휴일·휴가
2021년 11월 1일 작성 됨
Q.
야근수당 휴무로 대체가능 여부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정태화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제57조(보상 휴가제)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제51조의3, 제52조제2항제2호 및 제56조에 따른 연장근로ㆍ야간근로 및 휴일근로 등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갈음하여 휴가를 줄 수 있다.근로자대표와의 합의에 따라 야간근로 등에 대한 임금대신에 휴가를 줄 수 있습니다. 회사와 근로자대표가 보상휴가제와 관련하여 합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21
22
23
24
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