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글로벌 인프라·과학기술 투자 확대가 한국의 관련 산업 수출에 미칠 영향은 어떠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미국과 EU의 인프라 및 과학기술 투자 확대는 한국의 관련 산업에 새로운 수출 기회와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합니다. 미국의 인프라 투자법과 EU의 그린딜은 도로, 전력망, 재생에너지, 5G 등 분야에서 수요를 창출하며, 한국의 건설 장비, 반도체, 배터리, 통신 장비 수출이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전기차 배터리와 반도체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췄기에, 이들 시장 진입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기술 개발 측면에서는 친환경·디지털 전환에 초점을 맞춘 협력이 기회입니다. EU의 탄소중립 목표와 미국의 스마트 그리드 프로젝트는 한국이 재생에너지 기술, AI, IoT 기술을 고도화할 동기를 제공합니다. 한국은 이들 국가와 R&D 파트너십을 강화하거나, 현지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해 기술 수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은 선진국 정책 트렌드를 분석해 맞춤형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감사합니다
Q. 관세우려가 있는데 왜 이머징마켓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현재 트럼프발 관세 우려가 전 세계적으로 큰 이슈인 가운데, 한국 같은 이머징 마켓(Emerging Markets, EM)이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몇 가지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선,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지만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독보적인 위치(반도체, 배터리 등) 덕분에 관세 충격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기반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이 주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 등 특정 국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한국은 직접적인 타격을 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다만 개인적으로는 미국 우선주의가 해소되는 과정이라고 판단됩니다. 현재 미국 기업들의 PER은 다른 국가들대비 높은 편이며, 다른 국가의 시장은 잠겨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타국가에서 자체적으로 양적완화를 시행함에 따라서 해당국가의 유동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해당 국가의 증시가 상승하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