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베란다 창문틀 위에 물 새는거 윗집에서?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베란다 창문틀에서 물이 새는 경우, 원인에 따라 책임 소재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공용부분의 문제인지, 세대 내부 전유부분의 문제인지에 따라 수리 책임이 나뉘게 됩니다. 만약 창문틀 위쪽, 즉 외벽이나 상부 구조물에서 빗물이 스며드는 거라면 이는 대체로 공용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관리사무소를 통해 수리를 요청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창문 틀 실리콘 노후화나 개인 세대 내부 문제라면 해당 세대가 직접 보수해야 합니다.따라서 밑집에서 “윗집에서 물이 샌다”며 수리를 요구한다면, 우선 관리사무소를 통해 누수 원인을 정확히 조사해야 합니다. 원인이 윗집 내부 시설 문제라면 윗집에서 수리해야 하고, 건물 외벽이나 구조적 문제라면 관리주체에서 처리해야 합니다. 또한 본인 세대 역시 윗집 원인으로 물이 샌다면, 똑같이 윗집에 수리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결국 임의로 서로 요구할 것이 아니라, 관리사무소나 입주자대표회의를 통해 원인 규명 --> 책임자 확정 --> 수리 진행의 절차를 밟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 의류,지갑,신발등 고급브랜드들이 가지는 가치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네, 사실상 명품 및 고급브랜드 들이 다른 일반 브랜드(저가 싸구려 브랜드 제외) 와 품질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은 없습니다. 오히려 내구도가 조금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디자인 때문에)그러나 의류, 지갑, 신발 과 같은 패션 브랜드는 비단 그 품질과 내구성 때문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죠. 말씀하신 대로 해당 브랜드의 가치를 구입하면 본인도 그와 같은 가치를 가지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기 때문에 그것을 만족이라고 생각하고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자유이기 때문에 제3자로서는 어쩔수 없다 라고 생각은 하는데요.결론적으로는, 말씀하신 대로 패션브랜드에 국한해서 그 품질은 가격에 꼭 비례하지는 않는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