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싱크홀은 왜 생기는 건가요? 땅이 비어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질문에서 얘기하신대로 땅 속이 비고, 상부 지반이 무너져 내려서 생기는 구덩이가 싱크홀입니다. 기본 원리는 그렇고, 원인은 다양합니다. 지반 속 석회질이 지하수에 녹아서 다른 곳으로 이동해서 공간이 생길 수도 있고, 지하수가 흐르면서 주변 토사를 이동시켜서 공간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행위로 인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지하층을 깊게 만들면서 지하수위 보다 깊을 경우 지하수에 영향을 주어 토사를 이동시키게 할 수 있고, 땅 속에 묻어둔 배관이 노후화 되며 누수가 발생하며 토사를 이동시키며 공간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지하수를 너무 많이 이용하면서 공간이 생겨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지하에 빈 공간이 생겨나서 상부 지반이 무너져 내려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Q. 도로나 평평했던 땅에 싱크홀이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자연발생하는 싱크홀은 지하수에 의해서 땅 속 석회질이 녹아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연약한 토사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게 되며 생긴 공간으로 지반이 무너져 내리며 발생합니다. 도로에서 생기는 싱크홀도 원리는 비슷합니다. 도로 아래로 각종 배관들이 매설되어 있는데 배관이 노후 되거나 다른 이유(예 : 지하철 공사 중 배관 손상)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쏟아져 나온 물이 주변 토사를 이동시켜서 빈공간이 생겨날 수 있고, 이후에 상부 지반이나 도로포장이 무너져 내리며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단기간에 지하수를 많이 사용하면서 빈공간이 생겨서 싱크홀이 발생하기도 합니다만, 도로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은 배관의 누수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이류로는 도심 속 건축물의 면적을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지하층을 많이 만들기도 하는데 이때 지하수위가 지하층과 중첩될 경우 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속이 빨라질 수도 있고, 경로가 바뀌며 연약 지반을 지나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경로 상에 있던 토사를 쓸고 가며 빈 공간이 생겨나고, 지반이 무너져 내리며 싱크홀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Q. 일반도로에 깔린 아스팔트는 중간중간 웅푹패이던가 울퉁불퉁한곳이 많이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도로에 국부적으로 파여 있는 것을 보통 포트홀(도로파임)이라 부릅니다. 주된 원인은 포장면에 틈이 생기고 그 속으로 물이 침투하면 생길 수 있습니다. 도로면에 균열이 생기는 원인은 포장 품질이 낮아 쉽게 갈라질 수도 있고, 하중이 많이 나가는 차량이 지나가면서 진동이 많이 발생하면서 균열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 틈으로 물이 스며들고, 계속 되는 차량의 진동이 전달되면서 침하가 가속화 됩니다. 그러다보면 첨차 도로포장에 골재들이 떨어져 나가고, 심한 경우 한꺼번에 속에 있던 포장면과 가장 상부 포장면이 탈락되어나갈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생겨난 도로파임을 포트홀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Q. 한국의 아파트들은 지진에 대비해서 지어졌을까요?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요즘 지어지는 아파트들은 내진 설계가 적용되었습니다. 현행 기준 2층 이상 또는 200제곱미터 이상의 건축물은 구조안전의 확인 대상이며, 주택용도라면 면적과 층수 관계 없이 대상이 됩니다. (그 외에도 몇 가지 대상 기준이 더 있지만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아파트는 공동주택으로 층수나 면적 상관 없이 대상이 되며, 6층 이상이거나 3층 이상에 필로티 구조형식이라면 구조기술사의 협력이 의무입니다. (의무가 아니더라도 대부분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구조안전의 확인 대상이 되면 구조안전 확인서를 제출해야 하며, 증명할 서류로 구조도면과 구조계산서 등이 첨부됩니다. 이때 지진뿐 아니라 풍하중, 적설하중, 건축물 자체하중 등 다양한 하중에 대해서 검토됩니다. 그러므로 아파트는 내진 설계가 적용되었고, 그 외에 다양한 하중에 대해서 버텨낼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최근 문제가 되었던 아파트들은 부실시공에 의한 것이지 내진 설계가 되지 않아서가 아닙니다.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