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심해생물의 세포호흡은 일반 생물들의 세포호흡과 다른가요?
심해의 환경은 외부의 환경과는 전혀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극한 환경은 심해 생물들의 생존 방식을 독특하게 진화시켜 왔으며, 세포 호흡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생물은 유기물을 산소와 반응시켜 에너지를 얻는 유산소 호흡을 합니다. 물론 심해에도 산소가 존재하지만, 수심이 깊어질수록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이와는 다른 방식의 호흡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대표적인 것이 무산소 호흡입니다. 산소 없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무산소 호흡은 유산소 호흡보다 에너지 효율은 낮지만,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유리하며 실제 일부 심해 미생물은 황산염이나 질산염과 같은 무기물을 최종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는 특수한 무산소 호흡을 하기도 합니다.또한 심해 열수 분출구와 같은 특정 환경에서는 햇빛 대신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화학 합성 생물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세포 호흡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를 얻습니다.
Q. 우리 사람 몸에는 초능력이 있을수 있을까요?
사실 명확하게 그렇다, 아니다 답을 하기는 어렵습니다.그러나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증명된 초능력은 없습니다. 흔히 말하는 염력이나 투시, 텔레파시 등은 엄격한 실험 환경에서 재현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원리로 설명되지도 않았스니다.하지만, 우리 몸이 놀라운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극한의 상황에서의 잠재력 발휘하거나, 고도의 훈련을 통한 능력 향상, 감각의 확장 등의 사례들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합니다.그래서 결론적으로 현재 과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에게 초능력이 존재한다고 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Q. 철쭉꽃은 어떤 색깔들이 있고 왜 여러색이 있나요
먼저 철쭉은 꽃잎에 다양한 종류의 색소를 가지고 있습니다.주로 카로티노이드라는 지용성 색소는 노란색, 주황색, 붉은색 계열을 나타내고, 안토시아닌이라는 수용성 색소는 분홍색, 붉은 자주색, 푸른색 계열을 띠게 합니다. 이 두 가지가 가장 주요 색소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화학 물질들이 작용하여 여러 가지 색깔과 무늬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특히 이런 색상은 품종 개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참고로 꽃의 색깔은 꽃가루받이를 도와주는 곤충들을 유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색깔의 철쭉꽃은 각기 다른 종류의 곤충들을 유인하여 수분 성공률을 높이는 데 유리할 수 있는 것이죠.
Q. 터널공간으로 들어가게 되면 왜 귀가 먹먹해지나요
가장 집접적인 원인은 기압이 변하기 때문이니다.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터널에 진입할 때, 갑자기 좁은 공간으로 들어가면서 외부의 공기 압력이 순간적으로 높아지게 됩니다. 우리 귀 안쪽에는 얇은 고막이 있는데, 이 고막의 바깥쪽 압력만 높아지니까 안쪽과 바깥쪽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 압력 차이 때문에 고막이 안쪽으로 밀리면서 귀가 멍멍하게 느껴지고, 소리가 잘 안 들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겁니다.
Q. 공룡이 가장 많았던 시기와 얼마나 많은 공룡이 있었던가요
공룡이 가장 많았던 시기는 쥐라기와 백악기 시대로 이어지는 약 1억 3천 5백만 년으로 이 기간을 공룡의 전성시대로 부르기도 합니다.이 시기 지구의 기후는 따뜻했고, 풍부한 식물은 초식 공룡에게 충분한 먹이가 되었기에 용각류 공룡이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초대륙 판게아의 분열 또한 다양한 공룡 종이 서로 다른 지역에서 번성하는 계기가 되었죠.현재 정확한 공룡의 수를 알 수는 없지만, 고생물학자들은 약 1,000종이 넘는 비조류 공룡 종을 확인했으며, 통계 모델에 따르면 중생대에는 약 1,500에서 2,500종의 공룡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