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방은 필수라는데 안먹고 사는 사람들
혹시 책의 저자가 '콜드웰 에셀스틴' 박사가 맞으실까요?'콜드웰 에셀스틴' 박사는 심혈관 질환의 원인을 지방이라 주장하며, 수술이 불가능한 환자들을 채식을 통해 치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책에서 강조하는 식단은 동물성 지방은 물론 식물성 기름까지 완전히 제한하고, 채소, 과일, 통곡물 위주의 식사를 하는 것입니다.그러나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지방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실제 에셀스틴 박사의 식단에도 채소, 과일, 통곡물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소량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으며, 몸에서 필요로 하는 일부 지방산은 다른 영양소로부터 전환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신체적 특징일 수도 있죠.하지만 일반적으로 지방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세포막 구성이나 호르몬 생성, 지용성 비타민 흡수, 에너지 공급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특히 필수 지방산인 오메가-3, 오메가-6 지방산은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부족할 경우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결국 따라서 '지방이 범인'라는 책의 내용은 특정 질환을 가진 일부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실제 책도 18명의 환자에 관한 것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건강 식단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건강한 식단은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기본으로 하며,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양의 건강한 지방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꽃이 개화하기 어려운 조건이 되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되나요?
무엇보다 식물의 생식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즉, 수분이 불균형하거나 생장 지연, 특히 개화 시기가 불일치하며 곤충의 활동시기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수분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그리고 곤충에게도 먹이가 충분하지 않아 활동성이 떨어지거나 꽃의 개화시기에 맞춰진 산란이 변하며 생존이 어려울 수도 있죠.최종적으로는 먹이사슬 및 생태계 전반에 걸친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 이는 사람의 식량 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Q. 고생물학자 같은경우는 그전에 생물이 없는데도 어떻게 연구를 하나요?
말씀하신 화석이 가장 핵심적인 연구는 맞지만, 그렇다고 화석이 전부는 아닙니다.지질학적 증거나 분자 고생물학 같은 계열에서는 유전자 등을 연구합니다.먼저 화석을 통해 형태학적 분석, 비교 해부학, 생흔 화석 연구, 미세 화석 연구 등을 진행합니다.그리고 지질학정 연구에서는 화석이 발견된 지층 순서를 연구하는 층서학이나 연대를 확인하는 방사성 연대 측정, 그리고 퇴적암을 통해 기후를 확인하는 고기후 및 고환경 연구를 진행합니다.또 분자 고생물학에서는 DNA분석이나 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생명 역사를 재구성하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