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호랑이가 고양이과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요?
고양이가 진화하여 호랑이가 되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호랑이와 고양이가 먼 옛날 같은 조상에서 부터 갈라져 나온 동물로 먼 친척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다시 말해 호랑이와 고양이는 아주 오랜 옛날에 공통의 조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진화 과정에서 이 공통 조상으로부터 호랑이와 고양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진화해 온 것입니다. 마치 가족 안에서 할아버지라는 공통 조상을 두고 아버지와 삼촌이 서로 다른 자손을 낳은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래서 고양이과 동물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여러 가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카로운 발톱과 이빨, 뛰어난 사냥 능력, 유연한 몸 등이 대표적입니다. 호랑이와 고양이는 크기와 생태는 다르지만, 이러한 기본적인 고양이과 동물로서의 특징들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아바타에게 기본적인 자의식 자체 존재안하는 이유는?
말씀하신 대로 생물학적으로 완벽한 뇌를 가지고 있다면 잠재의식 수준에서라도 자체적인 활동이 있어야 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그래서 영화에서는 인간의 의식이 링크될 때만 아바타가 움직이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이러한 설정에 대한 나름의 영화적 해석이 있을 수 있죠. 즉, 영화는 현실과 다른 만큼 영화적 설정을 위한 단순화일 수 있죠. 아니라면 영화의 나비족 DNA 특성이라고 배경을 둘 수도 있을 것입니다.하지만,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말씀하시는 것이 정상이며, 과학적 현실과는 분명 괴리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양이는 떨어질때 공중에서 돌면서 어떻게 착지하나요
고양이의 매우 뛰어난 신체적 능력 덕분입니다.고양이에게는 선천적으로 '정위 반사'라 불리는 특별한 반사 신경이 있는데, 이 반사는 몸이 비정상적인 자세에 놓였을 때, 자동으로 몸의 방향을 바로잡아 정상적인 자세로 되돌리려는 본능적인 반응입니다.이 반사 신경은 생후 3~4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9주 정도가 되면 완전히 발달합니다.또한 고양이의 귓속에는 평형 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공중에서도 자신의 자세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회전을 시작할 방향과 속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게다가 고양이의 척추는30개 이상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어 사람보다 훨씬 넓은 범위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공중에서 몸을 빠르게 회전시키고 자세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죠. 또한, 고양이는 쇄골이 퇴화되어 어깨뼈가 몸통 골격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아 앞발의 움직임이 매우 자유롭습니다. 이는 공중에서 몸의 방향을 바꾸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몸의 크기마다 먹는 대사량이 어떻게 되나요
몸의 크기와 대사량은 상당히 독특한 관계를 가집니다.일반적으로 동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전체적인 대사량은 증가하지만, 단위 무게당 대사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클라이버의 법칙'이라 합니다.1932년 막스 클라이버가 발견한 이 법칙에 따르면, 동물의 기초 대사율인 BMR은 체중(M)의 약 3/4제곱에 비례합니다.즉, 이 법칙에 따르면 이는 몸무게가 2배가 되면 대사량은 2^(3/4) = 약 1.68배 증가하고, 몸무게가 16배가 되면 대사량은 16^(3/4) = 약 8배 증가한다는 것입니다.그리고 몸집이 작은 동물은 단위 무게당 표면적 비율이 큽니다.따라서 열을 더 빠르게 잃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단위 무게당 더 높은 대사율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쥐는 코끼리보다 몸무게당 훨씬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죠.반면 몸집이 큰 동물은 단위 무게당 표면적 비율이 작습니다.따라서 열 손실이 적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 대사율이 낮습니다. 대신 절대적인 대사량은 매우 커서, 코끼리는 하루에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이 아닌 미생물이 무성인것인지 궁금합니다
먼저 미생물도 생물입니다.미생물을 정의할 때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을 뜻하며 보통은 세균이나 효모, 원생동물을 뜻하지만, 내용에 따라서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성이 나뉘어 유성생식을 하는 생물들과는 달리, 미생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식합니다.그리고 말씀대로 많은 미생물이 무성생식을 통해 번식합니다. 예를 들어, 세균은 이분법이라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세포가 두 개의 동일한 세포로 분열하여 번식하며, 효모와 같은 일부 균류도 출아법이라는 무성생식 방법을 사용합니다.하지만 모든 미생물이 무성생식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미생물은 환경 조건이 좋지 않을 때 유성생식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세균은 접합이라는 과정을 통해 유전 물질을 교환하기도 하며, 일부 균류는 포자를 형성하여 유성생식을 합니다. 또한 원생생물 중에서도 유성생식을 하는 종류가 있습니다.따라서 미생물은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모두 할 수 있으며, 번식 방식은 미생물의 종류와 환경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3113123133143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