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성장과 생장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두 용어는 자주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엄밀히 따지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성장은 주로 개체의 크기나 무게가 늘어나는 양적인 변화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식물의 키가 커지거나 잎의 면적이 넓어지거나 줄기의 굵기가 굵어지는 것을 성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반면 생장은 단순히 크기가 커지는 것뿐만 아니라, 세포 분열과 분화 등을 통해 조직과 기관이 형성되고 기능이 발달하는 질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즉, 씨앗에서 싹이 트고 뿌리, 줄기, 잎, 꽃, 열매 등의 다양한 기관이 만들어지면서 식물로서의 온전한 형태 갖추게 되는 과정을 생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좀 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성장은 '얼마나 커졌는가?'에 초점을 맞춘 양적인 변화리고, 생장은 '어떻게 자랐고 무엇이 만들어졌는가?'에 초점을 맞춘 질적인 변화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Q. 동물중에서 초식과 육식 동물이 있는데 이것은 어떻게 구분이 되어졌나요?
나름의 서식 환경에 적응한 신화 결과입니다.그리고 그런 동물들의 각 식습관은 특정 먹이를 효율적으로 섭취하고 소화할 수 있도록 신체 구조와 생리 기능을 발달시켜 온 것이죠.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육식과 초식, 이러한 식습관의 구분은 각 동물이 살아가는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먹이의 종류와 양, 그리고 경쟁 관계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특정 환경에서 특정 먹이가 풍부하다면, 그 먹이에 특화된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고, 이러한 적응이 오랜 시간에 걸쳐 진화해 온 것입니다.인간의 경우 잡식으로 진화해 왔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통해 영양을 섭취하고 생존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인류가 지구상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번성할 수 있는 이유가 되었죠.
Q. 하루 물 섭취량 대비 소금 섭취량과 갈증
말씀하신 것처럼 마시는 것을 경구 수액 요법이라 하는데, 설탕과 소금은 물이 장에서 더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만들기 때문에 일반 물보다 수분 공급에 유리할 수 있죠.다만, 다른 음식을 전혀 섭취하지 않는 상황에서 해당 비율의 수분 공급만으로는 갈증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저 비율이라면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삼투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먼저 링거액은 단순히 물과 전해질(주로 나트륨, 염소, 칼륨 등)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체액과 유사한 전해질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비율에서는 나트륨(소금) 농도가 좀 높을 수 있습니다. 다른 음식을 통해 칼륨과 같은 다른 전해질을 섭취하지 않으면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하여 여전히 갈증을 느낄 수 있는 비율인 것이죠.결국 체액보다 농도가 높은 용액을 마시면 오히려 몸에서 수분이 빠지며 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말씀하신 용약 비율의 정확한 삼투압을 알 수는 없지만, 다른 음식 섭취 없이 이 용액만 마실 경우 나트륨 농도가 높아져 일시적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높일 수 있습니다.그래서 마지막 말씀처럼 소금을 줄이면 갈증이 나지 않는 것이죠.
Q. 하루 필요 나트륨(소금) 섭취량 질문
소금은 염화나트륨, 즉 NaCl로 이루어져 있으며, 나트륨은 소금 무게의 약 40%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소금 5g에는 약 2g의 나트륨이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산술적으로만 본다면 소금을 2g만 섭취한다면, 2g의 40%인 약 0.8g의 나트륨을 섭취하게 되는데, 이는 하루 필요 나트륨 2g에 훨씬 못 미치는 양입니다.하지만, 나트륨을 꼭 소금을 통해서만 섭취하는 것은 아닙니다. 소금 외에도 다양한 식품에 나트륨이 자연적으로 함유되어 있거나 조리 과정에서 첨가될 수 있기 때문에 식단을 통해 섭취하는 나트륨의 총량은 다를 수 있는 것이죠.
Q. 야생의 고릴라는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나요?
먼저 예능 프로그램의 장면은 일반적인 야생 고릴라의 행동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릴라가 사람을 사냥감으로 여기지는 않으며,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래서 강한 힘과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있지만 공식적으로 죽인사례는 아직까지 없을 뿐만 아니라 영역을 침범당하거나 무리를 보호해야 할 때에도, 먼저 위협적인 행동으로 경고를 보내고 쫓아내는 방식을 주로 사용합니다.특히 해당 예능에서는 촬영팀과 현지인들이 고릴라에게 위협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행동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다만, 야생동물인 만큼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공격성을 보일 수도 있어 모든 야생 고릴라가 인간에게 똑같이 반응한다고 일반화하기는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