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식물이 햇빛을 받으면 더 잘 자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광합성 덕분입니다.광합성은 식물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과 이산화탄소에서 양분을 만드는 과정입니다. 햇빛은 광합성에 필요한 주요 에너지원이죠. 즉,식물은 햇빛을 이용하여 생존하고 성장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것입니다.따라서 충분한 햇빛을 받는다면 광합성 효율이 높아져 더 많은 양분을 만들 수 있고, 이 양분은 식물의 줄기, 잎, 뿌리 성장과 꽃, 열매를 맺는 데 사용되는 것입니다.
Q. 공룡의 뼈와 발자국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지금 재현하고 있는 모습이 맞는건가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의 모습은 발견된 화석들을 바탕으로 과학적인 연구와 추론을 거쳐 재현된 것입니다.그래서 알고 있는 공룡의 모습과 실제 공룡의 모습이 동일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대부분의 화석은 뼈와 같은 단단한 조직만 남아있기 때문에 근육이나 피부색, 깃털 유무 등 부드러운 부분에 대한 정보는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공룡의 외형을 복원할 때 과학적 추론과 함께 현대 생물의 특징을 참고하기도 하죠. 최근에는 일부 공룡 화석에서 깃털의 흔적이 발견되면서 기존의 이미지와 다른 깃털 공룡의 모습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또한 발자국 화석은 공룡의 크기, 보행 속도, 무리 생활 여부 등을 알수 있지만, 어떤 종류의 공룡이 남긴 발자국인지 정확히 단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결론적으로, 현재 발견되는 공룡 화석 증거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에 대한 상당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기 측정 방법 또한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공룡의 완전한 모습을 재현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Q. 생1 길항작용에 대해 배우고있는데..
우선 길항작용을 하는 호르몬은 서로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생체 조건을 정상 범위 내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호르몬 쌍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인슐린과 글루카곤은 혈당량을 조절하는 데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므로 길항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경우,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혈당 조절에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길항작용이라고 할 때는 두 호르몬이 동일한 생리적 지표에 대해 직접적으로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면서 협력적으로 항상성을 유지하는 관계를 의미하는 경우입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인슐린은 주로 간, 근육, 지방 조직에 작용하여 혈당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고, 글루카곤은 주로 간에 작용하여 혈당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즉, 둘 다 주요 표적 기관이 혈당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반면,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을 높이는 효과 외에도 심혈관계, 호흡계 등 다양한 기관에 작용하며, 혈당 증가 효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노르에피네프린은 주로 스트레스 상황이나 급격한 에너지 요구 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슐린과 같이 혈당을 일상적으로 정밀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요약하자면, 인슐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혈당량에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그 작용 메커니즘과 생리적 역할의 차이로 인해 일반적인 의미의 길항작용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같은 내장 기관에 분포하는 것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두 호르몬이 동일한 생리적 지표를 조절하는 데 있어 직접적이고 협력적인 반대 작용을 하는지 여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