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여자는 남자에 비해서 털이 별로 안나나요??
무엇보다 가장 큰 원인은 호르몬 차이입니다.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수염과 가슴털, 다리털 등 체모 성장을 촉진하는 주요 호르몬입니다. 즉, 남성은 여성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기 때문에 체모가 더 많고 굵게 자라는 것입니다.반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남성 호르몬의 영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높은 여성은 체모 성장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둘기가 땅바닥에서 먹이를 찾는 능력은?
사실 비둘기의 시력과 판단력은 우라 생각보다 훨씬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여러 감각과 경험을 통해 먹이를 구별합니다.먼저 비둘기는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작은 물체를 멀리서도 정확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이는 비둘기의 눈 구조 덕분인데, 망막에 있는 시세포의 밀도가 인간보다 훨씬 높고, 색깔을 감지하는 능력도 뛰어나 다양한 색상과 미세한 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주 작은 먹잇감이라도 시각적으로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그럼에도 비둘기는 단순히 시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닙니다.과거 먹이를 먹었던 경험과 먹이로 삼을 수 있는 곤충이나 벌레 등의 움직임, 부리로 쪼았을 때의 질감, 냄새, 크기와 형태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먹이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도로옆 공원에 보라색의 예쁜 꽃이 늘어지게 피어 있는데 무슨 꽃인지 궁금합니다.
사진이 좀 흐리긴 한데, 지금의 계절을 생각해본다면 등나무 꽃으로 생각됩니다.등나무는 4월 말에서 5월 초에 걸쳐 보라색 또는 흰색의 아름다운 꽃이 긴 꽃대에 매달려 피어나는데, 주변에 줄기를 지탱하는 다른 식물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거위는 알을 낳을 때 항문으로 낳나요?
좀 애매할 수 있는데, 학문적으로 말씀드리면 알을 낳을 때 항문이 아닌 총배설강이라는 구멍을 사용합니다.그런데, 총배설강은 배설, 생식, 알 낳는 기능을 모두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즉, 그냥 보실 때에는 항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구멍을 통해 알을 낳기 때문입니다.그리고 거위가 알을 낳을 때와 변을 볼 때의 느낌이 어떻게 다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알의 크기와 모양, 나오는 과정 등을 고려했을 때, 변을 볼 때와는 확연히 다른 느낌일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설탕은 사탕수수에서만 만들수 있나요?
말씀하신대로 설탕의 주된 원료는 사탕수수인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사탕수수 외에도 다른 식물, 특히 나무에서도 당분을 추출하여 설탕을 만들 수 있습니다.사탕수수 외에 설탕을 만들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로는 사탕단풍나무가 있습니다.사탕단풍나무의 수액을 졸여서 만든 것이 바로 많이 들어보셨을법한 메이플 시럽입니다. 메이플 시럽은 특유의 풍미와 단맛을 가지고 있으며, 설탕 대신 사용되기도 합니다.또한 야자나무의 꽃에서 채취한 수액으로 만든 야자 설탕인 팜 슈거도 있습니다. 야자 설탕은 독특한 캐러멜 향을 가지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213223233243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