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돗물에서 깔딱구 유충이 나왔다는 기사를 보았는데요. 깔딱구 유충은 어떤 생물이고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먼저, 깔따구는 파리목 깔따구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000여 종, 국내에는 약 50여 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깔따구 유충의 경우 몸은 가늘고 길며, 종에 따라 붉은색, 흰색, 녹색, 갈색 등 다양한 색깔을 띱니다. 붉은색 깔따구 유충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 때문에 붉게 보이는데, 그 때문에 '블러드웜'이라고도 불립니다.그런데 더러운 물에서 살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깨끗한 1급수부터 오염된 4급수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할 수 있으며, 유기물이나 작은 생물을 먹고 자랍니다.그리고 생활사는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의 완전변태를 거치게 되는데 유충 기간은 종에 따라 2주에서 4년까지 다양하며, 성충은 보통 2~7일 정도 생존합니다.사실 깔따구 성충은 입이 퇴화하여 사람을 물거나 피를 빨지 못하며, 감염병을 옮기지도 않습니다.그러나 드물게 곤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가 예민한 경우 깔따구 유충과 접촉했을 때 접촉성 피부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그리고 깔따구 유충은 수질 오염도를 나타내는 지표 생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정수 과정이나 수도관 관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Q. 심해에 사는 물고기들은 생존을 위해 어떤 신체 구조를 발달 시켰나요?
종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생체발광이나 극도로 예민한 감각기관 등이 대표적입니다.많은 심해어들은 몸의 특정 부위에서 빛을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먹이를 유인하거나 의사소통, 또는 포식자로 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능력입니다.또한 극도로 확장된 감각긷관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즉, 빛이 거의 없는 환경에서 최대한 많은 빛을 모으기 위해 눈이 매우 크거나 망원경처럼 발달한 어종이 있고, 물의 흐름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주변 물체의 움직임이나 존재를 파악하는 감각기관인 측선이 유난히 발달한 어종도 있습니다.매우 독특한 외형을으로 에너지 소비를 줄이거나 효율적인 사냥을 꽤하는 어종도 있죠.
Q. 달팽이 방생하는게 맞을까요????
만일 자연으로 돌려보낸다고 생각하신다면 본래 채소가 자라던 곳에 방생하는 것이 좋습니다.왜냐하면 그 주변 환경이 원래 서식지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익숙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것이 달팽이에게는 가장 생존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집에서 키운다고 하신다면 적절한 크기의 용기와 흙, 은신처, 상추니 오이, 당근 등의 먹이, 그리고 칼슘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달걀 껍데기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물론 습도 유지도 중요합니다.결론적으로 만약 다시 자연으로 돌려보내기로 결정하셨다면, 너무 오랫동안 집에서 키우면 야생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서식 환경이 비슷한 곳에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