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뱀을 어쩌다보니 키우게 됐는데 종류랑 유의점 및 훈수 좀 해주세요
사진으로만 봐서는 블리자드 콘 스네이크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하얗고 붉은 눈을 가진 것이 특징이거든요.다만 정확 한종류는 전문가에게 확인해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가까운 파충류 샵이나 동물병원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정글 펫에서 브링디 박스 대, 아스펜 베딩 5L, 냉동 핑키를 구매하시는 것은 잘 하신 듯 합니다.다만, 지금은 아기 뱀이라 괜찮겠지만, 콘 스네이크는 성체가 되면 1m 넘게 자랄 수 있습니다. '대' 사이즈가 어느 정도 크기인지 모르겠지만, 너무 작다면 나중에 더 큰 사육장으로 바꿔주셔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콘 스네이크는 적정 온도와 습도가 중요합니다. 온도계와 습도계를 구입하셔서 사육장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꾸준히 확인하여 낮에는 24~32도, 밤에는 20~24도 정로 유지하고, 습도는 40~6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또 숨을 곳과 물그릇 등을 준비해주셔야 사육에도 유리합니다.
Q. 식물의 공합성의 종류도 C3,,C4,CAM이 있다고 하는데 각각에 해당하는 식물이 무엇이 있나요?
먼저 C3 식물은 가장 일반적인 탄소 고정 방식으로 대부분의 식물이 C3 식물에 속합니다.대표적인 예라면 벼나 밀, 콩, 보리, 감자, 시금치, 대부분의 나무 등이 있습니다.C4 식물은 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에서 주로 나타나는 방식으로 C3 식물에 비해 광합성 효율이 높습니다.대죠적으로 옥수수, 사탕수수, 수수, 기장, 조, 강아지풀, 피 등 대부분의 열대성 식물이 포함됩니다.CAM 식물은 매우 건조한 환경에 적응한 식물에서 나타나는 방식으로 밤에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고 탄수화물을 합성하는 특징이 있습니다.대표적 예라면 선인장, 파인애플, 돌나물 등이 있습니다.
Q. 살아가면서 혈액형이 바뀌는 경우도 있나요?
흔하지는 않지만, 과학적으로도 혈액형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가장 큰 이유가 골수 이식입니다. 골수에는 혈액 세포를 만드는 조혈모세포가 있는데, 만약 혈액형이 다른 사람의 골수를 이식받게 되면, 환자의 혈액형이 기증자의 혈액형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그리고 아주 드물게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이나 심한 감염,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경우 혈액형 항원이 약해지거나 변화하여 혈액형이 일시적으로 바뀌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영구적인 변화는 아닙니다.
Q. 왜 야생동물은 대체로 무리지어 살지 않고 자식을 독립시키나요?
무리 생활과 독립적인 생활 방식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종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최적의 전략이 다릅니다.따라서 살아남기 위한 최적의 선택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무리 생활을 하게 되면 포식자로부터의 보호를 받고, 협력을 통해 먹잇감을 사냥할 수 있으며, 양육에 장점이 있습니다.그러나 무리 내에서도 자원 경쟁이 발생할 수 있고, 질병 발생 시 무리 자체가 모두 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번식 경쟁의 발생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반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경우 특화된 사냥방식을 가진 경우가 많고, 특히 먹이가 부족한 경우라면 독립 생활이 생존에 더 유리해지게 됩니다. 또 넓은 영역을 자신의 새력권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무리 새활보다는 독립 생활이 더 유리한 것입니다.
Q. 꿀벌과 말벌의 침성분은 서로 다른지 궁금합니다.
꿀벌과 말벌의 독성분은 좀 차이가 있습니다.꿀벌의 벌침에는 멜리틴, 아파민, MCD 펩타이드와 같은 성분이 들어있는 반면, 말벌의 벌침에는 마스토파란과 브라디키닌이라는 성분이 존재합니다. 물론, 포스포리파제 A2나 히알루로니다제와 같이 꿀벌과 말벌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독성 성분도 있습니다.꿀벌의 경우, 벌침은 한 번 쏘고 나면 다시 생기지 않습니다. 꿀벌의 침은 톱니 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어서, 피부에 박히면 다시 빼낼 수 없으며, 침을 쏘는 과정에서 침과 함께 소화기관의 일부까지 몸에서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꿀벌은 결국 죽게 됩니다. 반면, 말벌을 포함한 다른 벌들은 침의 구조가 달라서 여러 번 침을 쏠 수 있습니다.벌들이 평생 낳을 수 있는 알의 수는 종류와 역할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꿀벌 여왕벌의 경우 번식력이 왕성한 시기에는 하루에 약 1,5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일 년에 최대 25만 개, 생애 동안에는 100만 개 이상의 알을 낳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리고 꿀벌 일벌은 일반적으로 알을 낳지 못하지만, 여왕벌이 없는 비상 상황에서는 극히 드물게 약 28개 정도의 무정란을 낳을 수 있으며, 이 무정란은 수벌로 자라게 됩니다.말벌 여왕벌은 하루에 약 100개 정도의 알을 낳을 수 있으며, 하나의 말벌집에는 여름이 끝날 무렵에는 2만 마리 이상의 말벌이 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