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휜재 바이러스는 생명체로 보고 있나요?
아직 학계에서는 논쟁이 많습니다.이미 예상을 하고 계시겠지만, 바이러스는 스스로 물질대사를 하지 못하고, 숙주 세포에 기생하여 숙주의 물질대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생명체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도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고, 변이와 진화를 거듭한다는 점에서 생명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주장도 상당히 많습니다.현재도 매우 첨예하게 대립중이죠.바이러스의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유전물질과 캡시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외피로 구성됩니다.즉, DNA 또는 RNA 형태의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 물질을 둘러싸는 단백질 껍질인 캡시드, 그리고 일부 바이러스는 캡시드 바깥쪽에 지질로 이루어진 외피를 가지고 있습니다.
Q. 수경 재배의 장점과 단점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수경재배는 흙이 아닌 물과 영양액을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입니다.그래서 영양분과 물을 직접 공급하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 속도가 빠릅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작물을 재배할 수 있고, 수직 재배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죠.게다가 흙을 사용하지 않아 흙에서 발생하는 병충해 발생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실내에서 재배하기 때문에 외부 병충해도 막을 수 있습니다.재배하는 사람도 작업량이 크게 줄기 때문에 노동력을 아낄 수도 있습니다.그러나 비용이 많이 듭니다.또한 영양액 관리나 환경 제어 등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관리 시스템 오류는 식물 전체를 고사시킬 수도 있습니다.특히 온도나 습도, 광량 조절 모두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 의존도가 높고, 자체 발전시스템이 없는 경우 정전 시 피해가 상당히 클 수 있습니다.그리고 앞서 병충해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말씀드렸는데, 반대로 병충해가 발생하게 되면 그 확산 속도가 일반 재배에 비해 너무 빠르기 때문에 피해가 상당히 커지게 됩니다.
Q. 상가 상가 사이 실외기에는 비둘기가 왜 많을까요?
가장 큰 이유는 안전하기 때문입니다.말씀하신 상가건물의 경우 높은 곳에서 공격하는 포식자로 부터 매우 안전한 서식처가 됩니다.특히 실외기 뒤쪽이나 틈새는 새들이 숨거나 둥지를 틀기에 적합한 공간입니다.인공조명이 새들의 생태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밝은 공간은 오히려 포식자를 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또한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각종 음식물이나 쓰레기는 새들의 먹이가 되어주고, 자연에서는 물을 찾기 위해 위험을 감수해야 하지만, 상가 주변에는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물은 새들에게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게다가 인공조명에 이끌린 곤충 역시 새들의 먹이가 됩니다.특히 겨울에는 매우 따뜻한 공간이 되는 것도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