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표적인 유전자변형 농작물은 뭐가 있을까요?
대표적인 작물은 콩과 옥수수 면화, 카놀라, 사탕무, 알파파 등입니다.특히 유전자변형 콩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유전자변형 작물로 주로 제초제 저항성이나 해충 저항성 등의 특성을 갖도록 개발되었습니다.또한 유전자변형 옥수수도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해충 저항성, 제초제 저항성, 또는 둘 다의 특성을 갖도록 개발됩니다.이 두 종은 이미 우리가 널리 섭취하고 있는 대표적인 작물이죠.그리고 면화, 카놀라, 사탕무, 알파파도 비슷하게 해충과 제초제 저항성 특성을 가지도록 개발되었습니다.
Q. 왜 바다랑 민물은 어떻게 생기고 나눠졌나요???
질문이 여러가지여서 나워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지구 초기에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여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았으며 지구가 식으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가 내렸고, 이 비가 낮은 곳에 모여 원시 바다를 형성했습니다.비가 내리며 강과 호수를 형성하였고, 이 물은 바다로 흘러가지 않고 육지에 고여 민물이 되었습니다. 민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 땅속을 흐르거나, 땅 위에 고여서 만들어지며, 바다와 달리 염분이 거의 없습니다.이렇게 바다와 강, 호수 등이 분리된 이유는 지형적 이유입니다. 그리고 강은 육지에서 바다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물은 육지에 남아 호수나 늪 등을 형성하는 것입니다.바다에 염분이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주장이 있습니다.빗물이 오랜 시간동안 땅의 암석을 풍화시키면서 염분을 포함한 다양한 염류를 녹여내고, 이 염류는 강을 통해 바다로 운반되어 바다에 염분이 축적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또한 해저 화산활동으로 인해 바닷속에 염분과 여러 광물질이 녹아든 것이라는 주장도 있죠.그에 비해 민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 땅속을 흘러 빠르게 바다로 빠져나가거나, 땅 위에 고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염분이 바다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이죠.바다의 염분은 생물에게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합니다.사람도 소금이 없이 살 수 없듯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미네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하지만, 염분은 생물의 삼투압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염분 농도의 변화는 생존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Q. 뇌의 활동이 뛰어난 인간외에도 동물들도 꿈을 꿀까요?
네, 동물들도 꿈을 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물론 말씀하신대로 꿈은 뇌의 활동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뇌가 발달한 동물일수록 꿈을 꿀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꿈은 주로 렘수면 단계에서 발생하는데, 많은 동물들이 렘수면을 경험하며 꿈을 꾸게 됩니다.그리고 대부분의 포유류는 꿈을 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개, 고양이, 쥐, 원숭이 등 다양한 포유류에서 렘수면이 관찰되었죠.또 일부 조류도 꿈을 꾸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핀치새는 수면 중에 낮에 불렀던 노래를 다시 부르는 듯한 뇌 활동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습니다.그리고 최근 연구에서는 파충류도 꿈을 꿀 수 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파충류의 뇌파를 분석한 결과, 렘수면과 유사한 수면 단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