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얼마전 로스엔젤레스 산불 진화시 바닷물을 퍼서 진화를 한 일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생태계에는 어떤 피해가 있나요?
지난 LA 산불을 진화할 때 바닷물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바닷물은 높은 염도로 인해 장비의 부식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말씀하신대로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왠만한 산불 진화 시에도 사용하지 않는 방법입니다.먼저 바닷물에는 염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토양에 스며들면 염분 농도가 높아집니다. 이는 식물의 뿌리 흡수를 방해하고, 심한 경우 식물을 고사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저해하여 토양의 건강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염분에 민감한 식물은 바닷물이 닿으면 생장이 저해되거나 고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산림 지역의 주요 수종은 염분에 약한 경우가 많아 바닷물 사용으로 인해 광범위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한 바닷물이 하천이나 호수 등으로 흘러 들어가면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염분 농도 증가는 수생 생물의 삼투압 조절 기능을 방해하여 생존을 위협할 수 있으며, 특정 종의 번식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더군다나 염분은 토양 입자를 응집시키는 성질이 있어 토양 구조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토양의 통기성과 투수성을 저하시켜 식물 생장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런 피해에도 불구하고 LA 산불의 경우, 극심한 상황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바닷물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것이죠.
Q. 혈액형중에 특이한 혈액형 CIS (사스 ) AB혈액형이란 어떤 혈액형을 말하는건가요
먼저 CIS AB형은 매우 희귀한 혈액형으로 일반적인 AB형과는 다른 유전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일반적인 AB형은 A형 유전자와 B형 유전자를 각각 부모로부터 하나씩 물려받지만, CIS AB형은 A형 유전자와 B형 유전자가 모두 한쪽 부모로부터 물려받습니다. 이런 특징 때문에 CIS AB형은 일반적인 AB형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됩니다.먼저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CIS AB형은 매우 드문 혈액형으로, 전체 인구의 0.01% 미만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인 혈액형 검사로는 판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정밀 검사를 통해서만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위험한 점은 CIS AB형은 일반적인 AB형과는 다른 항원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혈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즉, CIS AB형 환자에게는 반드시 CIS AB형 혈액형을 가진 혈액을 수혈해야 합니다.또한 CIS AB형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Q. 거북이가 두달째 밥을 먹지 않아요. 무슨 문제가 있는 걸까요?
2달이라면 건강상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보통 거북이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주변온도가 낮아지면 신진대사가 느려져 먹이활동이 줄어들게 됩니다.또한 환경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서식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면 역시 먹이활동을 줄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그래도 2달이라고 하면 감기나 기생충 감염과 같은 질병이 의심되기도 하고, 소화불량으로 인한 식욕 감퇴일 수도 있습니다.만일 종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25~30도 정도의 사육 온도에, 환경도 문제가 없다면 병원을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Q. 우리나라에서 길고양이가 급중한 시기가 언제이며 현재 길고양이의 개체수는 얼마나 된다고 추산하고 있나요?
우리나라에 길고양이가 급증한 시기를 정확하게 특정하기는 어렵습니다.하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 초반 도시화로 인해 길고양이 개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그리고 길고양이의 전체 개체수 역시 정확하게 산술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2020년 7대 광역시 추정 81만여마리, 2022년에는 20년 대비 감소한 67~69만여마리, 2023년에는 서울시만 약 10만여마리로 추산하고 있습니다.참고로 2023년 10만여마리는 2015년 20여만마리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입니다.그러나 이는 말 그대로 추정치이기 때문에 실제 개체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