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최근 엔캐리 트레이드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엔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 통화인 엔화를 빌려 고금리 통화나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금융 전략입니다.예를 들어 일본의 기준금리는 현재 0.25%, 미국의 기준금리는 최고 5.5%입니다. 보는 순간 우리는 0.25%로 돈을 빌려 5.5%의 예금이나 채권에 투자 하고픈 마음이 생길 것입니다. 실제로 이런 투자를 기관투자자들 사이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본의 엔화를 대출 받아 달러로 교환하여 미국에 갖고 가서 달러 투자, 예금, 국채 등을 샀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일본 기준금리를 올리겠다는 발표가 있었고, 반대로 미국은 금리를 인하하겠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그럼 엔 금리는 0.25%에서 상승, 미 금리는 5.5%하락하게 됨으로 급격하게 수익을 폭이 감소하게 될 것을 예상하고 주식시장이 요동했습니다. 즉 엔캐리의 청산이 시장에 악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으로 변동성이 심하게 발생했습니다. 엔캐리의 청산는 반대로 달러를 팔고 엔화를 사게 됨으로 달러의 가치하락, 엔화의 가치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외환시장의 큰 충격주고 주식시장까지 영향을 줬습니다.
Q. 기업들의 IR 이란 뜻이 무엇인지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IR한다는 표현을 하는데 이는 Investor Relations 으로 기업이 투자자들에게 자신의 기업을 알리고 소통하며 자신의 기업가치에 대하여 설명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IR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기업의 좋고 나쁜 모든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에게 신뢰를 줍니다. IR은 기업의 정보를 정확하게 소개하고 기업의 정당한 평가를 받습니다. 그래서 투자자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투자를 이끌어냅니다.주로 개인 투자자,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활동하며, IR의 주요 활동으로는 기업의 실적을 발표하거나 기업의 투자 설명회를 개최하는 것, 공시, 주주 총회가 이런 일련의 IR활동입니다.
Q. 거래량이 주가에 어떤영향을 주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거래량이 급증한다는 것은 해당 주식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크게 늘어났다는 뜻으로 거래량 상승 곧 주가의 상승, 하락을 양쪽 모두 있을 수 있다고 봐야 합니다. 어쨌든 거래량의 증가는 중요한 뉴스나 정보의 유입이나 기관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매가 있다는 증거로써 주가가 상승하는 중에 거래량이 급증하면, 이는 상승 추세로 반대로, 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 하락 추세로 봐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거래량의 증가는 단기적인 변동성의 증가로 주가의 변동성이 심함으로 주의해야 하며, 간혹 거래량 증가가 실제 시장 투자자의 매매가 아니라 알고리즘 거래나 단기 투기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Q. 주택대출 규제의 Dsr Ltv Dti는 어떤 개념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주택대출 규제에 사용되는 DSR, LTV, DTI 에 대하여 설명하면, LTV (담보인정비율)은 주택 가격 대비 대출 가능 금액의 비율입니다, 즉 나의 주택 가격이 100 인데 대출이 40 이면 담보인정 비율(LTV)은 40%가 되는 것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담보대비 대출가능금액을 산출합니다.DTI (총부채상환비율)은 연간 소득 대비 연간 부채 상환액의 비율입니다. 즉 내가 연간 5000만원을 버는데 이중에서 1000만원을 이자및 대출원금을 상환하고 있다면 DTI는 20% 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소득에 따라 대출 한도가 제한됩니다.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연간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 비율로 DTI와 다른점은 모든 대출금을 기준으로 비율을 산정한다는 것입니다. 즉 소득이 5000만원인데 이번 받는 대출과 이전의 대출을 포함하여 산출한 연간 이자및 원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과도한 대출이 나가는 것을 막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