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세요 조현병과 강박증을 앓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조현병과 강박증은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함께 이루어져야 증상 완화에 효과가 큽니다. 병원을 꾸준히 다니기 어렵다면, 스스로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사고일지 작성이 도움이 됩니다. 망상이나 불안한 생각이 들 때 그 내용을 적고, 그것이 사실인지 근거를 따져보며 생각을 객관화하는 연습을 반복해보세요. 또한 규칙적인 수면, 식사, 가벼운 운동 등의 생활 루틴을 유지하는 것도 뇌 건강에 긍정적입니다.혼자서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면 무료 상담과 약물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강박증에는 “생각은 행동이 아니다”라는 자기 대화를 반복하며, 집착적 사고를 흘려보내는 훈련도 도움이 됩니다. 작은 실천이라도 매일 반복하면 생각의 흐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치료가 부담된다면, 가까운 공공기관이나 상담 전화라도 꼭 활용해보세요
Q. 음경에 하얀색 좁쌀이 생겼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병변이 잘 안보여요 너무 작고 흐려서.말씀하신 내용 토대로 답변 드리자면 음경에 하얀색 좁쌀 모양의 돌기나 점이 생겼고 통증이나 가려움이 없다면, 대부분은 정상적인 생리현상이나 피지선, 진주양 구진(Pearly penile papules)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귀두 둘레나 음경 몸통 부위에 작고 규칙적인 돌기처럼 나타나는 경우, 이는 전염성도 없고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구조물일 수 있죠그러나 최근 구강성교 이후 발생했으며 시기적으로 불분명한 경우, 성병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성병 중 일부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늦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HPV(인유두종바이러스)에 의한 곤지름은 초기엔 좁쌀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외형만으로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려우므로, 피부과나 비뇨기과에서 시진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감염 가능성을 배제하고 마음의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한 번 정확한 진료를 받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당장은 증상이 없더라도 파트너 보호를 위해서도 조기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편도염인가? 편도암인가요?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그냥 보는 걸로 저게 암인지 아닌지 구분하는건 불가능해요현재 증상으로 보아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편도염 또는 편도 주위 농양입니다. 침 삼킬 때 왼쪽만 아프고, 덜렁거리는 혹이 느껴지며,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심해졌다면 염증이 진행되며 편도 조직이 붓거나 고름이 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편도 주위 농양은 일반적인 편도염보다 더 심한 통증과 혹 같은 덩어리 느낌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악화될 수 있어요편도암은 일반적으로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며, 침 삼킬 때의 지속적인 통증, 목소리 변화, 귀 통증, 체중 감소, 혹은 만져지는 단단한 림프절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금처럼 급성으로 통증이 심해졌고 종양처럼 보이는 덩어리가 갑자기 생겼다면, 편도염 또는 농양에 의한 일시적인 부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아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지 확인하시고, 증상이 더 악화되면 응급실 방문도 고려하셔야 합니다. 지금은 수분 섭취, 해열진통제 복용, 금연 및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를 우선 해보시기 바랍니다.
Q. 피부 느낌 다름 재질 다름 화상 흉터??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특정 부위 피부의 색이 다르고 촉감이 건조하거나 질감이 다르게 느껴진다면, 오래된 피부 손상 이후의 변화나 국소적인 피부질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본인이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경미한 외상이나 마찰, 일시적인 염증 반응이 있었을 수도 있고, 햇빛 노출, 습진, 건성 피부로 인해 색소 침착이나 위축성 변화가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7~8년 정도 장기간 지속된 것이라면, 급성 염증이나 화상 같은 외상이 아니더라도 만성적으로 반복된 자극이 피부 구조에 영향을 준 것일 수 있구요화상 흉터가 아니더라도, 피부가 오랜 기간에 걸쳐 각질층이 두꺼워지거나 콜라겐 구조가 변형되면 질감이 달라지며, 색도 주변보다 옅거나 짙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 타입인 경우 일부 부위만 유독 건조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피부암 등의 우려는 낮아 보이지만, 변화가 지속되거나 커진다면 피부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일단 보습제 사용과 자극 피하기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