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벌레가 갑자기 급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러브벌레 즉 LOVEBUG 은 주로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많이 서식하지만 최근 한국에서도 대량 관찰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러브벌레가 잘 자라는 환경 조건을 알아보면 기온 : 러브벌레는 따뜻한 기온, 섭씨 25도 ~ 30도 사이일 때 가장활발하게 활동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온이 여름으로 접어들면서 현재 온도가 여기에 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높은 습도는 러브벌레의 생장과 번식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합니다. 서식지 :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풀밭, 숲, 정원에서 잘 자랍니다. 퇴비나 낙엽 역시 적합한 환경입니다. 어느곳에서나 발생하기 쉬운 것이지요. \그러나 최근 급증원인은 전세계적인 기후 변화로 인한 평균ㄴ기온상승과 강수량의 변동이 그 원인이 되어 서식지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간의 도시화, 농업의 확장 등도 러브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동차량을 통해서 전 세계적으로 확산도 용이한 점도 그 이유가 됩니다. 또한가지는 농약사용이 많아지면서 천적이 줄어든것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는 러브벌레의 발생을 모니터링 하며 예의 주시중이며 개체수의 변동을 추적하고, 심각한 지역은 방제작업을 실시하거나 유기물이 많은 오염지역은 청소를 실시하여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에게 이 벌레에 대한 정보와 예방 방법을 나라가 주관하여 교육을 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절지동물에는 개미나 거미같은 곤충도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절지동물과 곤충의 차이를 먼저 아셔야 할 것같습니다. 그리고 절지동물의 대표적인 동물인 게와 곤충의 대표동물인 나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몸의 형태 : 절지동물은 몸이 두부분이나 세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게의 경우 몸은 머리와 가슴이 합쳐진 두흉부와 복부로 나뉩니다. 하지만 곤충은 세부분, 머리/가슴/배로 명확히 구분됩니다. 나비의 경우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리의 갯수 : 절지동물은 다리의 수가 매우 다양합니다. 게의 경우에는 10개, 5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곤충의 경우는 예외 없이 6개 3쌍의 다리를 갖습니다. 날개 수 : 절지동물은 날개를 가지지 않습니다. 게가 날개가 있지는 않아요 . 하지만 곤충의 대부분은 한쌍 또는 두쌍의 날개를 가집니다. 나비는 두쌍입니다. 호흡기관 : 절지동물은 아가미 또는 기관계 또는 폐서로 호흡합니다. 게의 경우 아가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곤충은 주로 기관계를 통해 호흡합2니다. 나비도 기관계를 통해 산소호흡을 합니다. 서식지 : 절지동물은 다양한 서식지에 삽니다. 게는 해양 , 민물, 또는 해안가에 살지요. 곤충 역시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이 가능하지만, 나비는 주로 육지서식하고 꽃과 식물주변에서 서식합니다.외골격 : 절지동물은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받습니다. 게 역시 딲딲한 껍질으 ㄹ가지고 있습니다. 곤충도 역시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지만 성장 중 탈피를 통해 외골격을 변형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면 개미와 거미는 갑각류가 아닌 각각 곤충, 거미류가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내 맘대로 움직수 없는 근육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우리가 의식하지 않는 근육은 대부분은 장기가 가지고 있는 근육이 대부분인데 이 근육은 자율신경계에 의하여 조절됩니다. 그 역할에 따라 나눌수있는데요. 평활근 SMOOTH MUSCLE 은 주로 내부장기와 혈관벽을 구성합니다. 식도 : 음식물을 소화기관인 위로 이동식키는 연동운동 위 : 위로 들어온 음식물을 혼합하고 소화 소장 및 대장 : 음식물의 소화 흡수 그리고 배설을 위한 이동, 연동운동 혈관계 동맥과정맥 : 혈관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류의 조절 모세혈관 : 혈류 조절을 통한 조직 곳곳에 영양소와 산소를 공급 호흡기계 기관지 :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호흡을 돕는다.비뇨기계 요관 : 소변을 신장에서 방광으로 이동 방광 :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을 조절생식기계 자궁 : 임신 중 태아를 보호, 출산시 수축심근 심장의 심방과 심실 :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을 펌프처럼 운반하여 공급 전도계 : 심근세포는 전지적신호로 심장 박동을 조절이러한 내장기적인 근육들은 우리의지와 상관없이 자율신경계에 의하여 항상 일정하게 자율적으로 작용 하여 인체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혀에서 느껴지는 미각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혀의 감각은 맛을 느끼는 미각을 포함하여 , 촉각, 온각, 통각 등 많은 감각을 인지합니다. 그러한 것들의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에 따라 개인적 주관인 맛이있다 없다를 판단할 수 가 있습니다. 미각의 종류에서 단맛은 주로 혀끝에서 느끼는데, 설탕 과일의 당류에서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짠맛은 혀의 양쪽과 앞쪽의 일부분에서 느끼는데 레몬, 식초의 산성물질이 있습니다. 쓴맛은 혀의 뒷부분에서 주로 느끼며 커피나, 약제 약물이 대표적으로 있습니다. 감칠맛이라는 느낌의 미각은 혀전체에서 느낄수 있으며 글루탐산과 관련이 있고 고기, 치즈, 된장에서 느낄수가 있습니다. 촉각은 음식의 질감과 물리적 성질을 감지하는데, 바삭함, 단단함, 부드러운 느낌, 거친 느낌 등 다양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통각은 혀의 매운맛과 같은 통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캡사이신을 다량 섭취하면 아픈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맛있다 없다의 판단은 매우 어렵지만 , 균형이 잘 잡혀있을 경우 맛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의 맛이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중 하나에 치우친다면 맛이 좋다고 보기 어렵죠. 또하나는 감칠맛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이 감칠맛을 보이는 육류, 고기, 치즈, 된장, 이 있는데 예로 삼겹살을 구워먹을때 그 맛과 풍미를 상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하나는 질감입니다. 음식이 너무 질기거나 딱딱하다면 대부분 맛있다고 생각하기가 어렵습니다. 부드러운 초콜릿이나 감자칩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온도입니다. 온도는 식품의 질감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수분이 많은 음식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도 하므로 너무 차가우면 딱딱해질수도 있습니다. 적당히 따뜻한 수프를 생각해보세요. 맛잇다 없다는 개인의 경험에 대한 척도를 통해 좌지우지 될 수 있습니다. 아는 맛이 더 먹고 싶다라는 얘기도 이런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조절할수 있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익히 알려진 코르티솔이 분비되고 있음을 어떻게 알수 있는지 ,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유도합니다.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간의 글리코겐을 분해하고 혈당을 증가시킵니다. 지방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항염, 면역억제 등 염증반응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혈관압 상승 유도중추신경계로 기억과 집중력 향상 , 기분의 조절수면주기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멸종위기 동물은 몇 급까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멸종위기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이 적색목록 Red list 에 여러등급으로 분류되어있습니다.그 등급과 몇가지의 예시를 찾아보았습니다. CR , critically endangered 위급 ; 가장 높은 위험북부 흰 코뿔소(Northern White Rhinoceros), 다윈여우(Darwin's fox), 양쯔강돌고래(baiji dorphin)EN, Endangered ; 위기 ; 가까운 근 미래에 멸종될 확률이 높음아시아코끼리 (Asian Elephant), 인도차이나호랑이 (indochinese tiger), 태양곰 (malayan Sun bear)VU, Vulnerable; 취약 ; 아직 멸종위험이 작지만, 미래에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바다거북 (Green sea turtle), 불곰 (Brown Bear), 마운틴/산악 고릴라 (Mountain Gorilla)해양, 육지 가리지 않고 인간의 욕심에 의한 환경터전의 오염에 따라 서식지의 감소, 그리고 밀렵으로 인하여 위의 예시처럼 다양한 종의 생명체들이 멸종에 이르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 조작 재료로 만든 식품은 어떤 점에서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유전자재조합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조작식품, GMO, LMO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우는데요, 유전자조작한 식품은 현재까지 안전성이 많이 입증되어 왔습니다. 정확히는 발생위험성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지요. 일부소비자단체에서는 조작된재료로 만든 식품이 안전한 것인가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식품의 뒷면에 표시사항에는 유전자재조합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도록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식물이나 동물의 근간이 되는 유전자를 유전자가위로 자르고 붙이면서 조작하였기에 분명히 이상이 없을리가 없다라는 주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생긴지도 어느덧 몇십해가 지났음에도 아직 안전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부족한게 아니냐 라는 의견도 많습니다. 하지만 충분히 안정적인데, 콩이나 옥수수 같은 작물은 익히는 과정에서 유전자가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굳이 인체에 부정적이거나 우려스러운 점을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새로운 대사물질에 대한 인체영향성 우려됩니다. 새로운 대사경로와 독성물질이 우려됩니다. 새로운 대사물질이 항생제 내성을 가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러한 내성물질이 인체에 들어오게 될 경우 항생제저항성이 생기거나 높아질지도 모릅니다. 새로운 대사물질이 알레르기를 유발할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섭취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을 마시면 왜 전부 사용하지 않고 오줌으로 내보내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물은 인체에서 약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모든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분의 섭취와 유지는 건강에 매우 필수적입니다. 매일 충분한 물을 마시는 것은 결국 최적화된 신체기능을 유지하는 건강비법인 것이죠. 인체는 항상성,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세포기능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첫번째이고 , 두번째는 모든 화학반응에 물이 관여한다는 사실입니다. 그것은 섭취된 영양분은 물과 함께 소화효소를 통해서 분해가 되고, 이것이 인체로 이동할때 물을 통해 이동하고, 그러고나서 다 쓴 찌꺼기 역시 물을 통해 이동하여 배출 된다는 것입니다. 인체내에서 물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온조절입니다. 땀을 열과 함께 배출하면서 체온이 올라가것을 막아줍니다. 영양소를 운반합니다. 혈액의 주요구성인 물은 영양소와 산소를 인체구석구석의 세포로 운반해주고 노폐물을 회수해서 신장으로 운반하여 물과 함께 배출합니다. 신장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소화액은 물로되어있습니다. 침, 위액, 장액, 소화액은 물을 포함합니다. 그러므로 저작되어 잘게 잘려진 음식물은 소화액과 잘 반죽되어 분해되고 분해되어 나온 영양소를 흡수하기 좋게 해줍니다. 인체의 모든 세포에서 수분은 세포의 형태유지를 위한 체액으로 쓰여집니다. 즉 세포 내 외부로 물량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형태와 기능이 정상적이게 됩니다. 이 모든 기능은 물을 매개체로 하는 화학 반응에 관여합니다. 혈압을 유지하여 줍니다. 물의 양에 따라 혈액량이 좌우되는데 이 혈액량도 결국은 혈압에 연관이 있기 때문에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정상태여야만 합니다 그래서 물이배출이 되지 않고 저장이 된다면 심각한 상황이 생깁니다. 수분이 과다하면 부종이 생깁니다. 발, 발목 손, 얼굴 등에서 붓거나, 배의 복강에 복수가 차게 될 수 있습니다. 뇌부종도 일으킬수있는데 두통과 혼란, 발작, 의식저하유발이 우려됩니다. 인체의 신경전달물질은 전류를 띠고 있습니다. 인체 세포에 물량이 많아지거나 하면 나트륨농도가 평소보다 낮아져서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주고 신경을 담당하는 근육등에도 문제를 일으킵니다. 칼륨은 물과 함께 배출되는 물질인데 배출을 못하면 농도가 높아져서 이 칼륨이 관여하는 심장의 박동에 문제를 일으켜 심장 부정맥, 심부전이 생길수있는데 폄프기능이 저하되어 이에 따라 심장이 멈출수도 있습니다. 신장에서 오줌으로 배출되는 노폐물들이 몸에 쌓여서 독소를 일으키거나 면역반응으로 염증이 생길수 있습니다. 특히 요독증에 빠지면 혼수상태나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혈액량 자체가 늘어나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계질환의 가증 흔한 질병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광견병에 걸린면 왜 물을 무서워하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 Rabies virus 에 의해 발생하고 아주 치명적입니다. 보통은 동물에게 물리거나, 침등의 타액에 의하여 감염 전파됩니다. 그 중의 주요한 증상이 hydrophobia, 공수병 입니다. 물이 무섭다기보다는 물섭취가 힘들어지는 병이라고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광견병바이러스는 감염된 동물의 신경세포를 따라 올라가 뇌로 이동한 후 신경계를 공격하여 여러 신경학적인 문제를 일으킵니다. 그 중 뇌간 brainstem 을 침범하는데 뇌간은 무언가를 삼키는 것을 조절하는 신경을 담당합니다. 이 삼킴반사 swallowing reflex를 조절하는 뉴런의 문제가 생겨 물이나 침을 삼키지 못하고 질질 흘리게 됩니다. 실제 물이나 침을 삼키려고 하면 목과 후두부의 근육들에 경련이 일어나서 고통을 느끼는 것이죠. 성대근육이 경련을 일으킨 경우는 개가 짖는 것처럼 보일수도 있습니다. 섬뜩한 증상입니다.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s 이 불균형을 일으키면 도파민 같은 뇌의 통증과 감정조절 물질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러다보면 공포감과 불안감도 덩달아 증폭되고, 그러다보면 물을 마시는 것에 대해서 과민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심하면 물이 흐르는 소리를듣거나 보기만하여도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경계선 지능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경계선 지능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은 아이큐라고 흔히알려진 지능지수가 70에서 85 사이에 위치한 사람을 말합니다. 이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서 약간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요, 이는 교육으로도 어느정도 해결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이 수준의 지능은 평균 지능 수준보다 약간 낮지만 지적장애가 있다고 얘기하기에도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전체 인구비율은 10~13%로 추정되고 , 이는 비교적으로 큰 비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사람들이 겪는 일정부분의 어려움을 돕기 위한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물론 지적장애가 심각하지만, 이 경우는 그 수가 더 많기 때문에 관심도가 높습니다. 이 사람들은 지적장애 자체는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특수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그에 대한 교육은 미비한 실정이고 더욱 애매한 경계에 있는 사람들은 복지 혜택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로 인해 학업성취도도 낮고 결과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 어려움이 동반됩니다. 정보의 발달로 이러한 지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경계선 지능 또한 널리 알려졌는데요, 사실 이러한 사람들은 매우 많기 때문에 평소에는 잘 느끼지 못했으나, 사람이란 것이 뭔가를 인식하면 그렇게 보이기 시작한다고, 일정부분에서 낙인과 차별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학업과 직장에서 실패가 많을 것이며, 적응도 느릴것이고, 결과적으로 자신감도 낮은 경우가 많아 사회적으로 고립도 될수 있는 사람들이 자신이 이 경계선에 있다고 판단한다면 , 결과적으로 스스로가 긍정적으로 보기보다는 부정적으로 바라볼 확률이 높을 거고, 사람들에대한 시선을 두려워할지도 모릅니다. 그에 따른 우울증, 불안장애 등을 겪을 확률도 높아지는 것이 바로 위에 말한 내용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정적인식일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많은 지원과 치료, 관심보다는 보통의 사람이다라는 그런 인식의 개선이 필요할 것입니다. 예로 학교의 한 학생이 이런 경우라면, 수업을 따라가기가 힘들것이고, 도움을 받지 못한다면 학습흥미가 저하되고 자신감도 없어질 뿐더러 학교생활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될 것입니다. 결국 학교를 포기한다거나, 공부와는 담을쌓고 다른 것을 찾게 될 수도 있습니다. 여러번 이러한 실패를 반복하고 부정적인 결과만 나온다면 아마도 자존감도 낮아지고 사회인으로써의 역할을 하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그 원인은 더 연구되어야 할 테지만, 미디어의 과도한노출에 따른 집중력 저하 , 지나친정보검색을 통한 사고력 저하가 이러한 것들을 해결하는데 더욱 어렵게 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