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절지동물에는 개미나 거미같은 곤충도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절지동물과 곤충의 차이를 먼저 아셔야 할 것같습니다. 그리고 절지동물의 대표적인 동물인 게와 곤충의 대표동물인 나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몸의 형태 : 절지동물은 몸이 두부분이나 세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게의 경우 몸은 머리와 가슴이 합쳐진 두흉부와 복부로 나뉩니다. 하지만 곤충은 세부분, 머리/가슴/배로 명확히 구분됩니다. 나비의 경우를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리의 갯수 : 절지동물은 다리의 수가 매우 다양합니다. 게의 경우에는 10개, 5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곤충의 경우는 예외 없이 6개 3쌍의 다리를 갖습니다. 날개 수 : 절지동물은 날개를 가지지 않습니다. 게가 날개가 있지는 않아요 . 하지만 곤충의 대부분은 한쌍 또는 두쌍의 날개를 가집니다. 나비는 두쌍입니다. 호흡기관 : 절지동물은 아가미 또는 기관계 또는 폐서로 호흡합니다. 게의 경우 아가미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곤충은 주로 기관계를 통해 호흡합2니다. 나비도 기관계를 통해 산소호흡을 합니다. 서식지 : 절지동물은 다양한 서식지에 삽니다. 게는 해양 , 민물, 또는 해안가에 살지요. 곤충 역시 거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이 가능하지만, 나비는 주로 육지서식하고 꽃과 식물주변에서 서식합니다.외골격 : 절지동물은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받습니다. 게 역시 딲딲한 껍질으 ㄹ가지고 있습니다. 곤충도 역시 단단한 외골격을 가지고 있지만 성장 중 탈피를 통해 외골격을 변형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면 개미와 거미는 갑각류가 아닌 각각 곤충, 거미류가 됩니다.
Q. 혀에서 느껴지는 미각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혀의 감각은 맛을 느끼는 미각을 포함하여 , 촉각, 온각, 통각 등 많은 감각을 인지합니다. 그러한 것들의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정보에 따라 개인적 주관인 맛이있다 없다를 판단할 수 가 있습니다. 미각의 종류에서 단맛은 주로 혀끝에서 느끼는데, 설탕 과일의 당류에서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짠맛은 혀의 양쪽과 앞쪽의 일부분에서 느끼는데 레몬, 식초의 산성물질이 있습니다. 쓴맛은 혀의 뒷부분에서 주로 느끼며 커피나, 약제 약물이 대표적으로 있습니다. 감칠맛이라는 느낌의 미각은 혀전체에서 느낄수 있으며 글루탐산과 관련이 있고 고기, 치즈, 된장에서 느낄수가 있습니다. 촉각은 음식의 질감과 물리적 성질을 감지하는데, 바삭함, 단단함, 부드러운 느낌, 거친 느낌 등 다양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통각은 혀의 매운맛과 같은 통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캡사이신을 다량 섭취하면 아픈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맛있다 없다의 판단은 매우 어렵지만 , 균형이 잘 잡혀있을 경우 맛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음식의 맛이 단맛, 짠맛, 신맛, 쓴맛 중 하나에 치우친다면 맛이 좋다고 보기 어렵죠. 또하나는 감칠맛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이 감칠맛을 보이는 육류, 고기, 치즈, 된장, 이 있는데 예로 삼겹살을 구워먹을때 그 맛과 풍미를 상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하나는 질감입니다. 음식이 너무 질기거나 딱딱하다면 대부분 맛있다고 생각하기가 어렵습니다. 부드러운 초콜릿이나 감자칩을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온도입니다. 온도는 식품의 질감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수분이 많은 음식은 온도에 영향을 받기도 하므로 너무 차가우면 딱딱해질수도 있습니다. 적당히 따뜻한 수프를 생각해보세요. 맛잇다 없다는 개인의 경험에 대한 척도를 통해 좌지우지 될 수 있습니다. 아는 맛이 더 먹고 싶다라는 얘기도 이런 경험과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Q. 멸종위기 동물은 몇 급까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멸종위기종은 국제자연보전연맹 IUCN 이 적색목록 Red list 에 여러등급으로 분류되어있습니다.그 등급과 몇가지의 예시를 찾아보았습니다. CR , critically endangered 위급 ; 가장 높은 위험북부 흰 코뿔소(Northern White Rhinoceros), 다윈여우(Darwin's fox), 양쯔강돌고래(baiji dorphin)EN, Endangered ; 위기 ; 가까운 근 미래에 멸종될 확률이 높음아시아코끼리 (Asian Elephant), 인도차이나호랑이 (indochinese tiger), 태양곰 (malayan Sun bear)VU, Vulnerable; 취약 ; 아직 멸종위험이 작지만, 미래에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바다거북 (Green sea turtle), 불곰 (Brown Bear), 마운틴/산악 고릴라 (Mountain Gorilla)해양, 육지 가리지 않고 인간의 욕심에 의한 환경터전의 오염에 따라 서식지의 감소, 그리고 밀렵으로 인하여 위의 예시처럼 다양한 종의 생명체들이 멸종에 이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