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릴라 원숭이 오랑우탄은 서로만나면 안싸울까요 ?
영장류는 그 외형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무리를 짓고 살아가는 특성을 보입니다. 그말은 자신의 무리의 동물들이 아니면 위협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평온하게 살아가기는 힘들다고 봅니다. 질문자님은 지능이 비슷하다고 하였지만, 실제로 외형과 행동도 다르고 무리의 수도 다르며, 그들의 언어도 달라 여타 다른 동물들처럼 서로를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독일 오스나브뤼크대와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전문가들은 2005년부터 아프리카 중·서부 가봉에 있는 로앙고 국립공원에서 45마리로 이뤄진 침팬지 무리를 현장에서 관찰하며 집단구조, 사회관계, 사냥 행동 등을 연구해 왔는데, 이 침팬지들은 5~10마리로 이뤄진 서부저지고릴라 무리들과 과일을 같이 먹으며 아주 잘 지내왔다고 합니다. 친화적인 성향을 보인 이들은 후에 침팬지무리의 공격에 의하여 새끼고릴라가 죽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가장큰이유로는 식량이 부족해지면서 붉어진 것으로 보여집니다. 잡식성인 침팬지와 고릴라는 코끼리와 같은 동물들과 부족한 멱이에 따른 종간의 갈등에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결국에는 다툼이 생긴 것입니다. 풍족하게 자원이 공유되지 못하고 이것이 되려 경쟁이 되면서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또한가지는 이러한 조사를 위한 인간의 접촉입니다. 인간들이 촬영과 조사를 위하여 고릴라나 침팬지에 다가가는 것들이 공포심이나 초조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침팬지와 고릴라의 다툼에서도 쉽게 자식을 버리고 도망가는 그러한 행태들이 보여지는데 이는 가혹한 정글에서 보여지기 힘든 것이지요. 사람역시 마찬가지라고 보여집니다. 돈이 없고 식량도 없고 하다보면 잔인한 현실이 찾아오는 경우를 뉴스에서 보신적이 있을 것입니다.
Q. 뼈는 왜 잘안썩고 오래되어도 발굴이 될수 있을까요?
단순하게 뼈는 미생물에 분해가 잘 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금방썪지 않고 오랜시간동안 땅속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미생물에게 필요한 것은 수분과 단백질, 지방, 또는 탄수화물의 영양세포입니다. 하지만유기질 35%이고 무기질이 45% 수분이 20%인 뼈는 일반적인 조직보다 수분이 현저히 떨어지며 일정기간이 지나면 썩을 것이 없는 것이죠. 무기질은 중 칼슘은 인체의 99%, 체내 인의 90%가 뼈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조성의 뼈조직은 썩기가 매우 우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인이나 칼슘을 먹이로 하는 미생물은 없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생물학적인 분해는 없으니,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나 분해를 해야하는 상황인데 그마저도 땅속에서는 이루어지기 힘듭니다. 그나마35%는 유기질이지만 골형성에 관여하는 모세포는 또한 세포 간질을 형성하면서 이것은 석회화로써 뼈의 특징인 단단함을 담당하게 됩니다. 유기질의 경우, 유기질이면서 골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골 모세포는 세포 간질을 형성하는데, 이 세포 간질에 석회화가 일어나게 되면 뼈가 더욱 딱딱하게 되는데 ,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유기질마저도 유골이 물성이 아닌 더욱 딱딱한 형태로써 존재하기 때문에 미생물이 더욱 활동하기 어렵게 됩니다. 썩을거 다 썩고 그 다음 남은 뼈들은 그 강도가 약해지면서, 내부 힘이나 압력에 의해 부서지면서 흙으로 돌아가 식물의 영양분이 될 것입니다.
Q. 인공 지능이 앞으로 10년 안에 우리의 일상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요?
AI는 Artificial inteligent , 인공지능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딥러닝은 인공지능이 학습을 하는 방식입니다.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이 갖춰진다음 어떤 분야의 거대한 데이터가 계속해서 주어지고 그 데이터를 학습해 나가면서 분석결과가 더욱 정확해지는 방식이죠 많은 데이터를 통하여 결과값의 범위가 좁혀져 나간다고 보시면 좋을 것같습니다. 머신러닝 역시 딥러닝의 한 종류입니다. 머신러닝은 어떠한 기계에 특정 조건과 범위가 주어지는데 기기가 이 조건대로 실제로 행동하면서 오차범위를 줄여나가면서 기계가 좀더 정밀하게 일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말그대로 이 딥러닝들이 지속되어 수행되면서 그 정확도와 객관성이 인간보다 높아진다면은 인간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판사, 변호사들의 판례들의 데이터가 집적된다면, 더 정확하고 논리적인 판결이 나올 수 있을 것이고 , 의사들의 진단결과 데이터가 집적된다면, 의사를 만날 필요없이 , 저비용으로 진단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거짓된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 주어진다면 당연히 AI역시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는데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우리의 검색기록이나 개인정보, 그리고 업로드한 모든 사진들을 토대로 다양한 정보들이 우리에게 제공되지만, 과도한 불량 데이터, 흔히 더미데이터라고 불리우는데 이런 데이터들이 인공지능이 제역할을 할 수 없게 만들기도 합니다. 오히려 데이터가 쌓일수록 멍청해진다고도 하지요. 하지만 지금 쳇GPT가 5.0에 다다르면서 ,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는 인간이 할 수 있는 고유의 역할마저도 대신할 수 있게되었다고 합니다. 앞으로 많은 산업들이 인공지능 , AI로 대체되어갈 것이며 , 특히 고학력의 지위를 가져야 할 수 있는 역할들이 컴퓨터로 대체 된다고 한다면, 인간이 할 수 있는 일들은 단순업무, 서비스, 수리, 정비 등의 기초적인 일들로 컴퓨터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거나, 인간대 인간으로 일하는, 간호사, 조무사, 요양보호사 정도만 남을 정도가 될텐데 , 인구도 감소하는 시대에서 이것이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는 알 수는 없네요. 다만 여기에 상상의 나래를 펼치셔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