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포유동물은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낳는 걸까요?
포유류란 어미가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서 기르는 동물을 말합니다. 포유류의 생활패턴을 고려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안전한 번식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먹이사슬에서 비교적 아래쪽에 존재하는 양서류, 파충류, 조류, 어류는 알을 낳음으로써 번식합니다. 알을 한번에 몇십개 몇백개를 낳는데 낳은 이후에는 안에 있는 영양소를 기반으로 자라게 됩니다. 대략적으로 알에는 영양분이 풍부한 만큼 천적으로부터 많은 위협을 받게 됩니다. 빨리 많이, 번식하고 이동해야하는 특성상 어쩔수가 없는 진화의 과정인것같습니다.하지만 포유류는 체내수정을 통해서 암컷의 몸안에서 안전하게 자랄 수가 있습니다. 알로 낳는 방식보다 그 수가 덜하지만 확실하고도 안정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몸속에서 자라나는 만큼 별도의 영양섭취와 안전한 서식처가 필요하겠지만 그것 역시 알로낳는 방법보다는 훨씬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먹이사슬의 상류쪽에 위치하다보니 비교적 천적이 덜한 것도 진화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의 신체는 유전자로 코딩되고 설계되나요?
사람은 부모 등의 혈연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혈연이란 것이 바로 유전자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양쪽으로 부터 절반의 유전자를 가지게 되며 이 전체 유전자에서 유전자로서 기능하는 것이 알려진 것은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또한 말씀하셨던 모든 특성에 대한 유전자도 다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밝혀진 것들도 우성과 열성의 특정이 존재하여 특징으로 나타나지 않고 잠재적으로 기능이 오프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유전자의 성질은 유전으로만 나타난다고 하지만 생활환경에 의하여 어느정도는 극복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체 유전자의 기능들이 얽혀진 상황에서 정말 유전자가 바뀌고 변형된다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산호는 분류가 어떻게 되는건가요??
산호는 분류상 동물계 자포동물문 산호충강 입니다. 산호가 식물이 될 수 없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세포벽이 없기 때문입니다. 세포벽은 식물에서 나타나는 고유의 특성이며 , 이 것이 없고 엽록체와 액포 역시 없습니다. 대신 공생조류를 지니고 있어서 광합성을 할 수 있고 먹이 없이도 어느정도 생장이 가능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집에 갑자기 많이 나오는데 이 벌레 뭔가요?
바퀴벌레 유충으로 보입니다. 바퀴벌레 전용 약제로 직접 분무하시거나 , 섭식형 먹이트랩을 구입하셔서 틈새구간마다 배치해 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거미줄은 비가 와도 왜 물에 젖지 않을까요?
거미줄은 보통 진주같은 물방울이 대롱대롱 맺혀있습니다. 이는 곳 거미줄이 물을 흡수하지 않았기에 물방울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것은 물이 스며들지 못하는 나노구조가 그 이유입니다. 거미줄은 직경이 수십 마이크로 미터 크기인 반면, 물의 분자는 수천 마이크로미터에 이릅니다. 즉 물방울 분자가 더 크기 때문에 스며들 수가 없는 것입니다. 나노단위의 가로세로줄로 구성된 거미줄은 물분자를 밀어내 물방울을 형성하게 하여 맺히고 결국엔 떨어지게 만드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음식에 나타나는 칼로리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칼로리는 에너지의 단위입니다. , 즉 에너지에요 , 열량입니다. 음식의 열량은 물 1kg의 온도를 1도 올리는 양을 1Kcal 라고 정의합니다. 즉 이것을 섭취하고 몸을 데우는데, 힘을 내는데 쓰이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 멸종위기종은 국가에서 보호를 해주는데
생물이 다양성은 복잡하고 얽히고 설킨 먹이사슬의 한 구성원으로써 제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하나의 먹이가 아니고 하나의 천적이 아닌 복잡하게 만들어진 먹이사슬에서 어떤 한종이 멸종됨으로써 끼치는 그 영향성에 대해서는 쉽게 판정지을 수 없습니다. 모든 생물들, 미생물, 식물, 동물 모든 개체들은 상호간에 긴밀한 영향을 주고 받고 있으며 하나가 멸종되면서 생기는 사슬의 공백이 회복되기까지는 수백년의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이처럼 많은 리스크를 안고 있는 종의 멸종을 막기 위하여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떤 오징어는 색을 변화시켜서 수컷인데 암컷처럼 보이게 한다는데 이유가 뭔가요??
호주 오징어를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짝짓기를 위해서 다른 수컷 경쟁자들을 따돌리기 위해 암컷처럼 위장하는 행동입니다. 특히 덩치가 작은 수컷들은 큰 수컷들을 따돌리면서 암컷으로 다가가기 위한 기회를 가지기 위한 전략으로써암컷처럼 색을 바꾸거나4번째 다리를 숨기거나얼룩덜룩한 피부무늬를 흉내낸다고 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총 62번의 의태 중 30번이나 암컷으로 접근할 수 있음짝짓기 시도 5마리 중 1마리 거부 , 1마리 탄로, 3마리 짝짓기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연어는 민물에 살다가 바다로 나가고 다시 알을 낳으러 민물로 돌아오자나요
자기가 태어난 곳의 지형, 물의 맛, 냄새 등을 기억하는 동물로 회귀본능이 특출나다고 하는 것이 연어입니다. 태양의 위치 탐지, 자기장의 특성기억, 체내시계, 유전체 각인설, 후각 발달설 등 많은 설들이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물고기는 왜 민물에서 살지 못하나요?
바다물고기의 염분조절바다물고기는 염분이 높은 바닷물로의 자연적인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바닷물로부터 수분을 섭취하며 염분은 아가미로 배출민물로 이동시 : 염분농도가 낮은 수분이 역으로 흡수, 수분섭취 및 염분배출의 지속으로 체액농도 지속감소로 사망민물기고의 염분조절민물고기는 염분이 낮은 민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함염분을 아가미로 흡수하며 조절 바다로 이동시 : 높은 바닷물의 염분은 민물고기로부터 수분을 앗아가며, 또한 염분마저 흡수조절하기 때문에 결국 탈수현상으로 체내 체액농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사망함연어는 바다물고기에 가까우며 이러한 염분 조절이 용이하게 구성되어있습니다. 연어의 경우 바다에서 4~5년을 지내다가 민물에서는 오로지 산란을 위해서 오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견뎌내는 부분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