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알기 쉽게 설명하는 공인중개사, 최동균입니다.
알기 쉽게 설명하는 공인중개사, 최동균입니다.
최동균 전문가
뉴퍼스트부동산중개법인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부동산 경기는 일반경기에 비해 후행한다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동균 공인중개사입니다.최대한 쉽고 재미있게(?) 써보겠습니다.1. 부동산은 공급하는데 시간이 엄~청나게 필요합니다. 오늘 금리가 올랐다고 아이고! 건축비 올랐네. 집 그만 지읍시다 하고 짓고 있던 건물 공사를 갑자기 올 스톱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매우x5 드물지만 간혹 공사중단 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시장상황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부동산 시장은 이를 반영하기까지 필연적으로 시간이 딜레이됩니다. 이를 설명한 대표적 이론이 거미집 이론입니다.2. 사람들은 집값이 떨어지는걸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매도인과 매수인이 주장하는 호가에 갭이 생기는데, 이 갭을 매꾸기까지도 역시 시간이 필요합니다.3. 부동산은 지역별로 그 경기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년같은 경우도 서울은 에고고 나죽네 하고 집계 이래 최대 낙폭인 -22%까지 가격이 빠졌다지만 동기간 경북 영주시는 약 9%의 집값 상승이 있었습니다. 이 지역별 특성은 정말 수백가지의 이유로 나타나는 것이라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 전국적으로 천편일률적인 시장전망이 상당히 어렵습니다.부동산 경기가 간혹 일반경기보다 선행하는 경우는 사람들의 기대심리에 의한 바가 큽니다.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부동산 용어중에 "전전세"라는 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동균 공인중개사입니다.전전세에서 전은 구를 전(轉)자를 씁니다. 일반적으로 임대차계약은 임대인과 임차인이라는 2명의 인물만 등장합니다. 그러나 전전세는 여기에 한명이 더 추가됩니다. 세입자가 다른 사람에게 방을 내어주는 것입니다. 즉 임대인이 A라는 사람에게 방을 내어주고, 이 A라는 사람이 또다시 B라는 사람에게 방을 내주는 것이 바로 전전세입니다.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토지대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목"이라는 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동균 공인중개사입니다.지목(地目)은 그 땅의 주 사용목적에 따라 28종류로 구분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것을 말합니다.이 땅을 어떻게 쓸래? 라고 누군가 질문하면 그 대답이 바로 지목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답,임야,도로,공장용지,공원,묘지,잡종지,하천 ... 이런 것들이 전부 지목의 종류입니다.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집을 지을려고 하는데 땅이 맹지라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최동균 공인중개사입니다.맹지란 도로와 접해있지 않은 토지라 건축허가가 불가능한 지목을 의미합니다. 장님, 맹인 할때 그 맹(盲)자 입니다. 맹지는 진입로를 확보하는 등 맹지 탈출이 선행되지 않는 이상 매우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부동산 계약 시 등기에 저당이 잡혀있는 경우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동균 공인중개사입니다.네. 통상 매매할 때에 기존 저당이 있는 경우 저당을 말소하게 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취지의 특약사항도 물론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