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기타 노무상담

경건한개미새67
경건한개미새67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왜 점점 사라지는건가요?

예전에는 한 직장에 근속을 하거나 평생 한 직장에서 퇴임을 하는 경우도 꽤 있었는데 요새는 왜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이 별로 없고 이직 등이 많아지고 있는지 어떤 사회적 변화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평생직장 보다는 평생직업이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능력에 따라 이동하여 적정 급여를 추구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평생직장은 일반적으로 고용이 정년까지 보장되는 것이 전제입니다. 요즘은 정년까지 보장되는 회사가 많지 않고 근로자들의 인식도 달라지는 등이 일정부분 작용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엄주천 노무사입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직업에 대한 풍부한 정보 공유, 과거 연공서열 중심에서 직무능력 중심으로 일자리가 개편된 것이 주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한번 취업하면 그 직장에 뼈를 묻는다는 식으로 평생직장을 추구했지만 이제는 특정 전공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평생직업으로 변화했는데 그 요인에는 위와 같은 인터넷으로 인한 정보가 넘치고, 한 장소에만 머무르지 않고 수시로 자리를 이동하는 글로벌 시대의 사람들 성격변화가 크게 작용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재 노무사입니다.

    사회가 빠르게 변하면서 직업이 새로 생기고 사라지고 있습니다.(현 직장이 사라짐)

    사람이 살면서 하나의 직업만으로는 살기 힘든 세상이 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연령별로 다음 직업을 대비해서 평생학습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MZ세대의 독특한 가치관과 더불어 기업환경이 더는 평생직장을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고용의 보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에 직장인들도 수시로 본인의 생존에 유리하게끔 이동하는거죠

    그리고 세상의 변화가 빨라짐에 따라 트렌드에 맞춰 기업의 전략도 변경되고 직장인들도 이에 맞춰 움직이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