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세금은 연봉이 높으면 높을 수록 더 많이 때가는 시스템인가요??
우리나라의 세금은 연봉이 높으면 높을 수록 더 많이 때가는 시스템인가요??
연봉 3000받는 사람이 10프로 때면...
연봉 1억 받는 사람한테도 10프로 때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근로소득세 산정 방식은 연봉에 따라 근로소득세의 세율이 높아지는 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연봉 수준이 인상되는 경우 세금 역시 인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준 노무사입니다.
세금문제는 세무사님께 여쭤보는게 좋습니다.
다만 세금은 고소득자가 더 높은 세율로 납부합니다.
과세표준 3000만원인 노동자는 세율 15%, 과세표준 1억인 노동자는 세율 35% 입니다.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소득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행 소득세 체계는 1200만 원 이하 세율 6%, 1200만 원 초과~
4600만 원 이하 15%, 4600만 원 초과~8800만 원 이하 24%, 8800만 원 초과~1억 5000만 원 이하 35%가
적용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네 근로소득세는 누진과세이기 때문에 연봉이 높을수록 더더욱 많이 납부하는 구조입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면세자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이상한 구조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상위 10% 근로자가 전체 근로소득세의 72.2%를 부담했다. 10% 근로자의 소득점유율(31.6%)보다 2배나 높은 세금 부담률이다. 반면 근로자 세 명 중 한 명(33.0%)은 근로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았다. 일본(2020년 15.1%) 호주(2018년 15.5%) 등 한국과 소득 수준이 엇비슷한 나라보다 2배 이상 높은 면세자 비율이다.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
우선 근로소득에 대한 세율은 누진세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에 소득이 높을 수록 세율도 높습니다
현행 소득 구간별 소득세율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400만원 이하 6%
1,400만원 초과 5,000만 이하 15%
5,000만원 초과 8,800만 이하 24%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 이하 35%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38%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