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순한참매12
순한참매12

인구가 줄어드는데 집이 남을까요?

지금 출산률은 0.73인데 향후 50년 후에는 집이 남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나라 총 주택 수는 얼마나 되나요? 향후 전망 알려주세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공인중개사입니다.

      2020년 기준 2167만호이며 전체 가구수 2092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통계로만보면 가구수보다 주택수가 많아 집이부족하지 않습니다.

      앞으로 50년후면 인구감소와 더불어 1인 또는 2인가구형 세대가 많아 질 것으로 예상되며 수도권에만 인구가 집중되고 타지역은 소멸 또는 외국인 근로자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해당 부분을 단순 산술적 계산으로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유는 예전보다 세대 당 구성원 숫자가 줄고 단독가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필요주택수의 변화를 확정하기는 어렵다는 점, 부동산도 결국 수요변화에 따라 주거형태가 변화되어 시장수요에 맞쳐 질수 있는점 등 때문입니다.

      다만 출산률이 낮고 인구감소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은 팩트이기 때문에 지방부터 시작해서 점차 주택수요가 줄어들고 공실주택이 늘어날수 있고 결국 현 공급물량보다 수요물량이 적어저 가격하락이 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50년 후 뒤에는 일본처럼 아무도 거주하지 않는 빈 주택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각 지자체에서 매해 적정 주택공급량을 계획하는데 이 공급량을 조절할 것입니다.그래서 수요와 공급을 맞추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영 공인중개사입니다.차츰 차츰 인구가 줄어들겠죠 확 줄어드느게 아니구요

      그래도 수도권이나 인기지역은 지속적으로 들어오려고 하니 국지적으로 한곳으로 집중 도고 그외 지역은 점차 집이 남을수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이미 저희나라는 인구대비 주택이 2018년부터 더많아졌습니다. 향후가 아니라 이미 빈집들이 많습니다. 특정지역에 인구가 몰리다보니 아직은 버틸만하지만 이대로라면 향후 특정지역을 제외한 비인기지역부터 부동산의 가치는 폭락할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가 줄지만, 외국인들 점차 한국에 많이 들어온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인구는 줄지만, 서울 경기권 인구는 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인구는 줄지만, 1인가구가 많아지면서 세대수가 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그래서 단순히 인구가 준다고 집이 남을지는 모릅니다.

      또한 집이 남는다고 하여도 30~40년된 집을 원하는 경우는 없을겁니다.

      노후화된 집이 계속 사라지고 사람이 안살기 때문에 이를 제외하고 시장을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향후 전망은 부동산 중개인도 쉽게 알지 모르며, 이는 거시경제학자에게 물어봐야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