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집을 오래 임대해서 생활할 수 있는 그런 제도가 있을까요?
정부 지원 이라던지 아니면 임대를 할 수 있는 그런 사이트나 어플 같은게 있을까요
내 돈을 내고 임대를 하거나 하는것도 상관 없고요 조만간 해외 가는데 다녀와서
있을곳을 정해두고 갈까 해서요 제가 시끄러운걸 싫어해서 그냥 정적인
시골 느낌 나는 그런 곳에서 1년 정도 살까 해서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시골 빈집들이 많고 1년이상 비워두면 과태료를 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시골 빈집을 무료임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무료임대를 위해서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사이트를 확인해보면 (공가랑 홈페이지, 지자체홈페이지, 해당지역의 마을이장이나 지역 부동산 방문)을 통해 임대를 진행할수 있답니다
그리고 시골 무료빈집 임대에 대한 부분으로 빈집 재생비용 2천만원 지원 받을수 있으며 빈집 소유자들은 임차인에게 의무기간 4~5년간 무상임대조건이 있어서 귀농이나 귀어를 할수 있습니다
지자체들마다 희망스런 빈집,리모델링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답니다
그러니 이런 사이트 들어가서 시골 무상임대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일진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집을 임대하여 생활하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과 제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행복주택 및 귀농·귀촌 지원귀농·귀촌 지원 제도: 정부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골 지역에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임대주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행복주택: 청년, 신혼부부, 귀농·귀촌자 등을 대상으로 저렴하게 임대하는 공공주택 제도입니다. 일부 농촌 지역에서도 제공되며, 저렴한 임대료로 생활할 수 있습니다.
2. 농지은행농지은행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귀농·귀촌 희망자가 농지와 주택을 임대하거나 매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농지 외에도 농촌 주택을 장기 임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시골집 임대 관련 사이트 및 어플집토스: 일반적인 부동산 매물뿐만 아니라, 시골집이나 농촌 지역의 임대 매물을 찾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귀농넷: 귀농·귀촌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시골집 임대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농업정책보험금융원에서 운영하는 ‘귀농귀촌종합센터’ 앱이나 웹사이트도 활용하면 시골집 임대 정보와 지원 제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개인 거래 및 커뮤니티네이버 부동산이나 다방 등의 앱에서도 농촌 지역의 주택 임대 매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당근마켓이나 번개장터와 같은 지역 기반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도 간혹 시골집 임대 매물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이런 제도와 플랫폼을 통해 원하는 조건에 맞는 시골집을 임대하여 생활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에서 돌아오신 후, 미리 집을 정해놓으면 좀 더 안정된 귀국 후 생활을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인터넷에 시골집 임대라고 치면 전국 각지의 시골집 임대에 관한 금액과 정보가 나옵니다.
특히 요즘은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도 많이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사진만 보지 마시고 직접 해당 지역에 가셔서 직접 집을 보고 결정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농촌 재능 나눔 프로그램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 등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빈집을 저렴하게 임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지역관계없이 네이버부동산이나 각종 부동산 어플을 통해서 원하시는 지역내 매물을 확인이 가능할수 있습니다. 시골주택의 경우 해당 어필이나 사이트등에 매물이 없을 가능성도 있기에 지역내 매물을 올린 부동산을 통해 다른 매물여부까지 확인하시면 더 많은 매물을 보실수 있습니다. 그외 시골 빈집구하는 사이트로써 정부사이트인 공가랑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는 것도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시골에 1년정도 거주하는것은 가능합니다만 이것을 전문적으로 알아볼수있는 싸이트는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