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협상은 어떻게 됐을까요?? 25%인가요??
이제 관세 협상이 정말로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어떤식으로 협상이 진행되었는지 궁금합니다 25%로 협상된다면 우리나라는 어떤 손해를 보게 될지 앞으로 어떤 안좋은점이 있을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오늘부로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부품은 15%, 상호관세는 15% 그리고 철강 알루미늄은 50%를 유지하는 것으로 EU, 일본과 동일한 조건으로 협의하였습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결국 관세가 상승하였기에 기업들은 가격에 이를 어떻게 전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여야되며 추가적으로 한국이 투자하기로한 3500억불이 사실상 기부이기에 이에 대하여 논란이 많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한미 무역협상은 타결되었습니다.
자동차를 포함 한국산 수입품 대상 상호관세는 15%입니다. 다만, 철강 알루미늄 및 구리 관세는 기존의 품목별 관세 지속 적용됩니다.
한국은 미국에 투자 및 조선 협력, LNG 등 미국산 에너지 구입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1,000억달러 규모의 LNG 및 기타 미국산 에너지 제품 수입, 미국산 수입품 대상 무관세, 미국산 승용차 및 트럭, 농산품을 개방하기로 하였습니다.
3,500억 달러 대미투자는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전용펀드이며, 2,00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바이오 등 펀드로 구성됩니다.
추가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2주 내 백악관에서 우리나라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개최할 예정임을 시사하였습니다.
우려했던 쌀시장 개방과 소고기 수입확대 등은 이번 협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상호관세율은 낮췄으나 GDP 대비 대미 투자 비율 19.6%로 대미 투자를 약속한 국가 중 가장 비율이 높아 경제에 비해 과도한 수준의 투자를 요구 받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어제 현지시간부로 미국과의 무역협상이 합의되어 상호관세율을 25%에서 15%까지 낮추는걸로 나름 선방되었습니다. 15%는 EU와 일본과 동일하며 미국과 합의한 국가들 중에서는 제일 낮은 편에 속합니다. 만약 합의가 되지 않아 25%였다면 이는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에게 막대한 관세부담이 되며, 관세율이 낮은 국가로부터 수입이 늘어날수 있어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수출이 줄어드는 문제까지 야기될 수 있었던 부분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진짜 25퍼센트까지 올라갈까 걱정됐던 분위기였는데, 협상 막판에 미국이 한발 물러서면서 15퍼센트로 조정됐습니다. 다행히 최악은 피했지만, 그렇다고 안심할 정도는 아닙니다.
우리나라 입장에선 원래 0퍼센트 관세를 누리던 품목들이 이번에 새로 과세 대상에 들어갔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에서는 분명 손해를 본 셈입니다. 특히 자동차, 가전, 철강 같은 수출 중심 산업은 마진이 확 깎일 수 있고, 일부 중견기업은 납품 단가 재조정 압박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무에서 느끼기에는 이런 관세 인상보다 더 무서운 건 예측 가능성이 사라진 구조입니다. 앞으로도 미국이 언제든 다시 관세를 조정하겠다고 나오면, 수출 구조 자체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수출 기업들이 가격 전략 다시 짜고, FTA 적용 조건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리스크 줄이는 방향으로 대응을 시작해야 하는 타이밍입니다. 이게 단발 협상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 게 더 중요한 포인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