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과는빨리하는게좋아요
사과는빨리하는게좋아요

효과적인 훈육 방법과 양육에서 중요한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효과적인 훈육 방법과 양육에서 중요한 부모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아이의 행동을 어떻게 훈육해야 할지 막막합니다. 아이가 자주 고집을 부리거나 규칙을 따르지 않는데, 이때 어떻게 훈육을 해야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잘 교정하는 훈육 방법이나 부모가 꼭 해야 할 역할에 대해서도 알고 싶습니다. 또한, 아이와의 신뢰 관계를 잘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나, 훈육할 때 부모가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도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효과적으로 훈육하는 방법

    그리고 양육할 때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효과적인 훈육방법을 알려드리기 전

    훈육의 정의를 간단하게 적어 보겠습니다.

    훈육 이라고 하는 것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짚어주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 맞춰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아서 개선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훈육은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단호해야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다면 아이의 모든 행동을 중지 시키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지금 한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지금 한 행동이 옳지 않았는지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설명을 해준 후,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아주면 좋겠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한 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반복적인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를 효과적으로 훈육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의 행동의 원인을 이해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지도하며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리거나 규칙을 따르지 않을 때는 먼저 왜 그런행동을 보이는지 원인을 살펴보세요 예를 들어서 피곤하거나 주목받고 싶어하는 마음일 수 있으므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훈육에서는 일관성이 핵심입니다 부모가 정한 규칙은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하며,이를 따르지않을 때 어떤 결과가 따르는지 미리 알려줘야합니다 규칙을 어겼을 때는 감정적으로 꾸짖기보다는 차분히 행동의 결과를 설명하고 아이가 책임을 이해하도록 도와주세요

    결국 훈육은 단순히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올바른 가치를 배우고 건강한 성격을 형성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효과적인 훈육방법과 양육에서 중요한 부모의 역할은 아이를 사랑으로 감싸고 공감해주시는게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훈육은 일관성과 지속성이 중요합니다. 보호자가 일관적인 기준을 세워서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기준을 잘 세워 주어야 합니다. 또한 일회적이지 않고 지속적인 규정을 세워 보호자로서 자녀가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이때, 감정적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행동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함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