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빈티지한원숭이104
빈티지한원숭이104

아파트 홍보할때 초품아 역세권 이런식으로 홍보를 하던데 그 기준이 궁금합니다.

아파트 분양 홍보를 할때에 초품아 역세권 이런식으로 홍보를 많이 하던데 초품아 와 역세권 그기준이 어느정도되면 그렇게 불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파트 홍보 시 사용되는 '초품아’와 '역세권’은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아파트 단지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초품아는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의 줄임말로, 아파트 단지가 초등학교와 바로 붙어 있거나, 중간에 차로가 없거나 최소 2차선 이내에 위치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아이들이 안전하게 통학할 수 있다는 큰 장점 때문에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역세권은 지하철역이나 기차역을 중심으로 한 반경 내의 지역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역세권은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500m 이내의 지역을 가리키며, 1차 역세권은 역 승강장 경계로부터 250m 이내, 2차 역세권은 250m에서 500m 이내를 말합니다. 도보로 5분 이내 거리에 있는 지역은 특히 '초역세권’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기준들은 아파트의 입지를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특히 교육과 교통의 접근성이 뛰어난 아파트 단지는 높은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 정확한 기준이 있지는 않습니다.

    그냥 아파트와 조금만 근처에 있어도 그렇게 써주면 홍보가 잘되니 그렇게 얘기합니다.

    그래서 직접 현장에 가보고 판단해 보는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요즘 아파트는 초품아 역세권 등이 인기 좋습니다.

    초품아는 통상 아파트 바로 옆 신호등을 건너지 않고 바로 아파트옆에 초등학교가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초등학생들이 차도나 신호등 없이 바로 걸어서 초등학교를 가는 경우이고 역세권 또한 걸어서 지하철역을 가는 경우를

    말하는 통상 역세권은 500m 정도까지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사실 홍보의 기준은 분양사가 정하여 하기 때문에 개인이 판단하는 기준에 따라서는 해당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해당 용어를 쓸수 있는 목적물과의 거리등이 정해진 사실은 아니기에 정확한 판단기준 역시 있지 않습니다. 보통 역세권이라고 하면 1킬로이내 전철역등이 잇는 경우 초역세권은 500미터 이내 위치한 경우 해당된다 보는게 보통이고, 초품아는 말그대로 단지내 초등학교를 끼고 있는 경우를 초품아라고 하는게 일반적이나, 단지내가 아니여도 단지와의 거리가 근거리인 경우까지 초품아로 홍보하는게 일반적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아파트 분양 홍보를 할때에 초품아 역세권 이런식으로 홍보를 많이 하던데 초품아 와 역세권 그기준이 어느정도되면 그렇게 불리는지 궁금합니다.

    ==> 역세권이라면 통상 도보 5분거리에 있는 아파트를 의미합니다. 그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역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아파트 등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 초품아는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라는 뜻으로 학교가 가까워 자녀들의 안전통학이 가능한 아파트단지를 말합니다

    횡단보도나 신호등을 건너지 않고 바로 초등학교로 갑니다

    역세권은 지하철역과 5분에서 10분이내의 거리를 말합니다

  • 초등학교와 역세권이 아파트로부터 몇미터거리에 있어야 그런 용어를 사용한다하는 법은 없습니다. 심한경우는 20분을 걸어가는 거리인데도 역세권이란 말을 쓰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