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

액면가라는 것이 주식시장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인가요?

액면가가 회계적인 금액인 것은 알고 있으나 우리들이 주식앱에서 보는 주식가격도 아니고 굳이 액면가라는 것이 있어야 하는 것인가요? 실제 거래가가 아닌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왜 필요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 액면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액면가란 말 그대로 주식 한 주당 액면에 표시된 금액입니다.

    즉, 회사가 주식을 발행했을 당시의 주당 가격을 의미하며

    이는 회사의 자본금과 발행 주식의 숫자를 이해하는 것에 중요한 기준이될 수 있다고 합니다.

  • 액면가는 주식의 회계적 기준 가치로 실제 거래 가격과는 별도로 법적, 제도적 필요성에 의해 존재합니다. 액면가는 자본금 계산의 단순화 필요성, 배당 정책의 기준, 액면분할과 병합의 유연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경우 액면가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 이 개념은 일본에서 주식시장을 우리나라가 가져오다 보니 생겨난 것이고 실제로

      여러 분할이나 합병등을 저해하는 요소로 뽑히고 있는 제도입니다.

    • 그렇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이 이해하기 더욱 어려운 상태가 되었고 기업들도 주식을 분할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는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주식1주의 기준 금액으로서 회사가 설립 시 자본금을 나누기 위하여 설정하는 회계 상의 숫자 입니다. 실제 거래 가격과는 무관하지만 주본금 규모와 주식 수 계산, 그리고 액면분할. 변합 등에서 기준이 되는 가격 입니다.

    그리고 법적,회게적 기준 역할을 하며 회사의 기초 재무 구조를 파악하는데 필요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액면가란 주식을 발행할 때에 1주당 법적으로 정한 기본금액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액면가는 회사 정관에 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자본금 규모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이용되며 배당 가능이익 산축 등의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주식이 발생될 때 정해진 명목 가격으로 회사의 자본금을 계산하는 기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가와는 달리, 액면가는 회사 설립 시 자본금을 나누는 단위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인 주식 1000주를 발행하면 자본금은 5백만원이 됩니다.

    이는 회계적으로 자본 구조를 명확히 하고, 주주 권리를 배분하는 데 필요합니다.

    또한 액면가는 주식 분할, 병합 시 기준이 되며, 법적 최소 자본 요건을 충족하는 데도 쓰입니다.

    시장 거래와는 무관하지만, 기업의 자본 구성과 법적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필 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액면주식만 발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액면가가 존재하는 것인데, 사실상 상장 주식의 경우 시가로 거래가 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액면가는 그냥 상징적인 의미(?)로만 존재한다고 보면 되는 부분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주식 한 주당 기준이 되는 명목상 금액인데요, 실제 거래가격이랑은 다르게 그냥 회사 설립 때 자본금을 나누기 위해 정한 단위 금액입니다. 우리가 주식앱에서 보는 주가랑은 아무 상관 없지만, 액면가는 여전히 회사 회계나 자본금 산정 기준으로 쓰입니다. 예를 들면 액면분할이나 병합할 때도 액면가가 기준이 되고, 법적으로도 회사 최소 자본금 계산 같은 데 필요합니다. 거래 가격과는 다르지만 기업 운영 틀 안에서는 나름 중요한 역할 하고 있는 개념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주식 1주의 기본금액으로 보통은 5백원, 또는 천원입니다. 주가와는 다르며 실제 거래에는 직접 영향이 없습니다. 자본금 산정, 무상증자 등에서 참고용으로 쓰이게 됩니다.

    거래가격은 시장가 액면가는 회계상 기준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주식 한 주당 회사가 정한 명목상의 금액을 의미합니다.

    액면가는 자본금 산정 기준이 되면 액면가 X 주식 수가 자본금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의 경우 주식을 회사에서 발행할떄 정한 1주 당 주식의 가격으로 이는 보편적으로 500원으로 설정을 해두며, 대기업이나 주가가 큰 기업의 경우 5000원으로 설정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액면가를 활용하여 회사의 자본금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합니다. 이러한 액면가의 경우 자본금이 되므로 회사의 운영에 대한 자본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또는 자본잠식이 발생했는지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액면가를 기준으로 배당금을 정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액면가는 실질적으로 특별히 어떤 의미가 있는게 아닙니다 그냥 회사설립시에 과거 5000원기준으로 액면가를 해서 발행하는게 대다수엿습니다.

    이에 법인설립시에 설립한 창업자와 지분투자자들이 총 100억을 납입했다면 액면가는 보통 5000원을 기준으로 많이 했고 이를 나눠서 주식수로 기재한것뿐입니다.

    즉 주식에서 액면가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설립시에 그냥 기재한 그이하도 이상도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par value)는 주식을 최초 발행할 때의 주당 가치를 의미합니다. 주식을 발행한다는 것은 자본금을 시장에서 조달하는 것이고 발행 주식에 대한 기본적인 주당 발행 가격이 필요하기 때문에 액면가가 존재합니다.

    가령, 주당 5천원의 주식을 발행 했을 때 시장에서 투자가들이 주당 7천원에 해당 주식에 투자를 했으면 액면가 보다 주당 2천원의 주식발행 초과금이 회사로 유입된 셈입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할 때 주당 액면가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다만, 배당이나 주식분할 또는 병합시에는 액면가 기준으로 실행 될 수 있어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액면가는 회사가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관에 명시하는 1주당 명목상의 가격입니다. 실제 거래되는 시장 가격과는 다르며, 주로 자본금 산성(액면가x주식수)에 사용됩니다. 액면가는 발행가의 최소 기준이자 회셰상의 기준점 역할을 하며, 법적으로 반드시 정해야 하는 금액입니다. 실제 주가 변동과 가치는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되므로 액면가 자체는 실질 투자 가치와 직접적 연관이 없으나, 자본 구조와 주주 권리 비율 산정 등에서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 투자자입장에서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지만, 액면가가 중요한 이유는 대한민국회계기준상 기본적인 자본금이 액면금액으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액면가는 기업의 총 자본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기업의 경제적 상태와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고, 또한 주식의 액면가는 기업의 배당금을 결정하거나, 주식 분할 시 분할 비율을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투자자들의 투자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