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차전지산업이 위태로운가요
우리나라의 2차전지산업이 재작년까지만 했어도 엄청나게 불을 뿜었었잖아요. 그런데 지금 계속 하락만 하고있는데 그정도로 심각한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2차전지 산업이 하락세인 이유는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문제, 그리고 경쟁 심화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어 상황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2차 전지산업은 전기차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수요가 증가하였으나, 현재는 배터리 문제와 화재 문제로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줄고 있으며, 특히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전기차의 수요 감소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2차전지 산업은 최근 전기차 수요 감소와 글로벌 경쟁 심화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배터리 업체의 생산 축소와 저가 공세, 전 세계적인 전기차 구매 심리 위축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로 인해 국내 2차전지 소재 및 부품 수출이 감소하며, 일부 기업들은 투자 조정과 생산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전기차 세액 공제 축소 가능성 등 정치적 변수도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2차전지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기차 확산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수요 증가로 인해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국내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비용 절감, 수요처 다변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 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차전지의 기술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비용대비 가격으로 따진다면 효율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보조금을 받는 것이 필수인데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보조금을 전액 삭감하였습니다
그 결과로 우리나라 2차전지 기업들은 적자를 보게될 예정이고 그에 따라 피해가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당장 경쟁력을 아예 잃지는 않겠지만,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해 언제든 타격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업황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며, 사실상 미국 정책에 크게 좌우된다는 점에서 리스크가 있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2차전지산업은 작년에는 캐즘이라는 성장통우려가 있지만 올해는 그동안의 천문학적인 투자와 그리고 추가적인 투자집행이 필요한 과정에서 영업부문은 적자가 지속되고 이러한 추가적인 증자 자금집행이 우려되는게 문제입니다.
현재 SK온이나 LG에너지솔루션 모두 IRA보조금을 제외하면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며 앞으로도 미국에서의 추가 CAPA를 늘려야하는 상황입니다. 즉 이런 측면에서 증자와 같은 천문한적인 자금조달이 필요한 상황인데 현재 시장금리 상승과 작년부터 주요 대그룹들이 재무구조를 효율화려고 하면서 문제가 있는것입니다.
즉 해당 기업이 파산은 안하겠지만 유상증자와 같은 우려가 시장에서 반영되고 잇는것으로 보이며 이런 유상증자가 발생하게되면 주가희석으로 대규모 주가하락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이런부담이 작용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2차전지 산업이 위태로운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현재 전기차 관련해서 시장이 정체에 들어갔기 때문에
2차전지 산업 역시 흔들리고 있는 것이 분명하고
위태로운 것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2차전지의 경우 트럼프의 탈 친환경 정책으로 전기차 수요가 줄어들고, 중국업체의 경우 자국 수요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2차전지 기업의 경쟁력과 영업환경이 중국업체와 점점 격차가 벌려지고 있고, 우리나라의 2차전지 점유율이 2024년 20%미만까지 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