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EKOPFG
EKOPFG

기획부동산이라는 사기가 있던데 주로 어떤 형식으로 사기를 치는가요

우리나라에서 얼마전에 부동산 전세 사기로 인해서 정말 많은 피해를

봤었는데요 그리고 요즘에도 기획부동산이 있다고 하는데 주로 어떤

식으로 사기를 치는건가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에서 얼마전에 부동산 전세 사기로 인해서 정말 많은 피해를

    봤었는데요 그리고 요즘에도 기획부동산이 있다고 하는데 주로 어떤

    식으로 사기를 치는건가요

    ==> 기획부동산은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인근지역에 대규모로 토지를 매입한 후 공동지분으로 매도하는 형식입니다. 이러한 경우 사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장확인, 개발을 하지 않아도 그대로 매입후 언제든지 매도 가능한지를 꼼꼼하게 확인한 후 진행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기획부동산은 대체로 장기 발전가능지역의을 과도하게 부풀리어 허위 정보로 고객을 유치하는 사기행위 사레가 많이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전세사기 사레는 캡투자 형식을 이용하여 돌려막기식으로 사기 행각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요즈음은 단속이 심하여 기획부동삼의 사기 행위가 근절되어가고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관련한 업무 광고 중 기획부동산에서 광고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기획부동산은 개발이 어렵거나 경제적인 가치가 없는 임야 또는 전, 답 등을 지분으로 판매하는 것을 전문으로 하는 부동산으로서 토지의 소유권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분양하거나 개발행위 인·허가 없이 토지만을 지분으로 판매하고 소액투자를 유도하며 다단계식 판매를 하는 등 각종 법적인 문제를 야기하는 부동산을 말하는데, 처음에는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서 부동산을 판매하게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 지인들에게 부동산을 강매하게 하는 형태를 취하고 판매 이후에는 점포를 폐쇄하고 잠적하는 등의 수법을 취하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실제 개발 계획이 없거나 불투명한데도 개발 기대감을 조장하며 사기를 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투자 수익률이나 원금 보장을 미끼로 삼아 투자자를 유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도 기획 부동산은 끊임없이 수법을 다양화하며 불법 행위를 이어가고 있으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기획부동산은 사실 겉보기엔 합법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사기 구조에 가까운 투자유도 방식입니다

    토지를 쪼개 팔아 수익이 나는 것처럼 꾸며 투자자를 모집하는 사업자를 말합니다

    ,지방 땅인데 개발 호재 있다

    ,지금 사면 3년 안에 3배 오른다

    ,지자체 승인 난 사업이다

    이런 말이 나오면 99% 기획부동산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거의 다단계처럼 지인들이 유도하는 편이니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기획부동산의 전형적인 사기 수법은 토지 분할 매수 방법입니다.

    즉 토지 개발이 곧 있을 것 처럼 속여서 큰 목돈을 투자하게 끔 유도를 하기 보다는 지분으로 쪼개서 매매를 하게 해서

    시세차익을 남기고 달아나는 수법입니다. 즉 개발 가능성만 있고 실제 진행이 미지수인 토지를 홍보를 해서 지금 투자를 하면 몇배 수익을 올릴수 있다고 홍보를 하고 또한 목돈이 부담스럽다면 지분투자를 권유해서 실상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팔리지도 않아서 돈이 묶이게 되는 형태의 사기가 전형적인 방법이라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기획부동산이 주로 하는 방법으로는 개발이 어려운 임야, 전, 답 등을 지분으로 나누어 판매를 하거나 지분 쪼개기를 통한 한 필지를 수십명, 수백명에게 나누어 파는 등의 수법으로 사람들을 모집합니다.
    피해자들이 대부분 사회 초년생이나 주부, 노년층이 많은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시세와 개발 가능성 등의 현실성 있는 정보를 꼭 검증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