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초음파에서 인대 부분이 어디인가요?
11월 초 발목 접지른 뒤로 발목이 심하게 부어
정형외과에 갔어요.
전거비인대 파열 진단을 받았는데
어느 곳이
인대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인대 회복이 된다면 초음파상으로는 어떻게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강한솔 의사입니다.
초음파 이미지를 기준으로 전체적인 구조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다만 초음파 검사 특성상 프로프 잡은 의사의 주관이 개입되는 면이 있어 설명이 조금 부족하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1. 초음파에서 발목 인대(특히 전거비인대 ATFL)가 보이는 위치: 발목 초음파의 전형적 구조는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A. 위쪽 밝고 하얀 층
→ 피부, 피하조직입니다.
B. 그 아래 비교적 균일하게 보이는 밝은 띠 모양 구조
→ 인대(ligament)가 보이는 위치입니다. ATFL(전거비인대)은 초음파에서 얇고 밝게 보이는 섬유성 띠처럼 나타납니다.
3. 더 아래 어둡고 균질한 부분 → 근육 또는 지방 조직입니다
4. 가장 깊은 부분의 밝은 선 → 뼈 표면입니다. 뼈는 초음파에서 강하게 ‘하얗게’ 반사됩니다.
현재 올리신 이미지에서도 표면에서 조금 아래, 뼈 위를 가로지르는 밝은 섬유성 띠가 인대가 위치하는 구간입니다.
2. 파열된 인대는 초음파에서 어떻게 보이는가
전거비인대 파열 시 일반적으로 다음 소견 중 일부가 나타납니다.
A. 인대 섬유의 연속성이 끊겨 보임
B.인대가 두꺼워지거나(부종) 내부 에코가 흐려짐
C. 인대 사이에 검은색(무에코) 액체가 보여 혈종·삼출을 의심
D. 심한 완전파열이면 섬유 띠 자체가 보이지 않거나 자리에서 밀려남
3. 회복되면 초음파에서는 어떻게 보이는가
회복 과정에서 초음파는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A. 부종(검은 부분)이 감소해 인대 주변이 정돈됨
B. 흐릿했던 인대 섬유가 조금 더 균일한 밝기를 띠게 됨
C. 끊겼던 섬유가 완전히 원래처럼 보이진 않지만,
연속성 있는 밝은 띠 형태로 복원됩니다.
D. 장기적으로는 약간 두꺼워진 조직(흉터화)처럼 보일 수 있음
인대는 파열 후 처음 모습으로 “완전 동일하게” 돌아가지는 않지만, 기능적으로 충분히 회복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아무래도 초음파 사진 상 끊어진 부위로 확인되며 해당 부위가 회복되면 끊임 없이 연속성으로 좀 더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지금과 같이 초음파 검사를 하셨다면 전문의에게 어느 부분이 끊어진지 현장에서 소견을 들을 수 있으며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정기적인 검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진상 가운데 위치 흰색 음영이 보이는 곳이 전거비 인대가 위치한 곳입니다.
또한 음영이 중간에 끊긴 부위가 있는 것이 파열이 발생한 부위로 예상이 되는데요, 회복이 된다면 음영이 끊긴 부위가 없이 관찰됩니다.
정확한 소견은 진료를 받으신 주치의에게 들어보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