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나라에서 성공한 마트나 식당들이 왜 우리나라에선 실패할까요?
월마트나 까르푸 같은 대형마트나 세계적인 체인식당을 보면 전세계적으로 성공을 거두지만
유독 우리나라에선 힘을 못쓰고 철수를 하더라고요.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에는 이미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같은 강력한 국내 유통업체가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들 기업은 한국 시장에 특화된 마케팅과 운영 전략(예: 쿠폰, 할인 행사, 온라인 쇼핑 연계)을 통해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문화적 차이로 한국의 경우 온라인 물류의 강점이 있는 반면 미국 처럼 토지가 넓은 경우 오프라인 매장이 더 잘될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월마트나 까르푸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추지 않고 현지화로 실패를 꼽는 분석이 많다고 합니다
워낙 성공한 브랜드이다 보니, 굳이 현지화를 통한 변화를 꾀하지 않았는데, 이것이 실패의 원인으로 본다고 합니다
글로벌 유통공룡이 줄줄이 실패를 맛 보고 떠나는 와중에도 꿋꿋하게 잘 나가는 글로벌 유통공룡이 있어 관심을 끄는곳은 코스트코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 소비자 특성
한국 소비자들은 가성비 뿐만 아니라 가심비를 중시 합니다. 글로번 업체들이 제공하는 단순한 저가 전략이 한국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특히, 현지화된 브랜드가 지역 특성을 잘 반영해 더 선호가 되었습니다.(이마트, 홈플러스 등)
한국 소비자들은 친절하고 세심한 서비스를 기대 합니다. 글로벌 체인들은 현지화된 서비스 제공이 부족해 한국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유통 환경의 특수성
한국에는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편의점, 그리고 쿠팡과 같은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강력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들 소매채널은 대형마트를 대체할 수 있는 역할을 하며,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 합니다.
한국은 국토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고, 인구 밀도가 높아 대형 매장을 운영하기에 어려운 환경 입니다. 대형마트보다는 소형화된 매장이나 편의점 모델이 더 적합한 시장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지화 부족
한국 시장은 유통 규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합니다. 글로벌 체인점이 이러한 규제에 적응하지 못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로컬 유토업체들은 시장에 빠르게 적응하고 현지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해 경쟁력을 강화 했습니다.
까르푸나 월마트는 현지화 전략이 부족해 한국 소비자들의 문화적 니즈를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소비자들은 신선식품 코너에서의 상품 다양성과 품들을 중요시 하지만, 글로벌 체인은 이를 간과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치열한 경쟁 환경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유통 대기업은 지역 시장에서의 경험과 강력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글로벌 업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습니다.
한국의 빠른 인터넷 환경과 편리한 배송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쇼핑 플랫폼이 급성장하면서 대형마트의 경쟁력을 악화 시켰습니다.
높은 운영 비용
한국은 대도시 중심의 상권 구조로 인해 부동산 임대료와 운영 비용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대형 매장을 운영하는 글로벌 업체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한국은 지리적, 인구밀집 특성상 빠르고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이 필수 인데, 글로벌 업체가 이를 적절히 구축하지 못한 사례가 있습니다.
한국 시장에서는 글로벌 유통업체들이 철수한 주요 이유는 현지화 부족, 치열한 경쟁 환경, 소비자 특정의 오판 등에 기인 합니다. 한국의 로컬 유통업체들은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으로 소비자 니즈를 충족 시켰고, 글로벌 체인들은 이러한 차별화된 현지화 전략에 실패하면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월마트와 까르푸 같은 대형마트들이 우리나라에서 실패한 이유는 현지화 실패가 가장 큰 요인입니다. 워낙 성공한 브랜드다 보니 굳이 현지화를 통한 변화를 꾀하지 않았는데 이것이 패착이였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우리나라 특유의 폐쇄성도 실패의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