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숙련된딱새23
숙련된딱새23

CT나 X-ray 상으로는 골절이 안 보이는데 그래도 골절 가능성이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1

사물함 문에 검지손가락을 찢었는데 며칠이 지나도 손가락이 붓고 접기도 힘드길래 정형외과를 갔는데 CT랑 X-ray에는 안 보이고 초음파 상으로는 뼈가 좀 파인 게 보인대요 근데 따로 골절 진단을 내릴 수가 없어서 일단은 지켜보면서 나중에 뼈가 부으는 걸 보자고 하시는데 ( 손가락 구부리기 힘들고 살짝만 스치고 닿으면 아프긴 해요) 이런 상황에서도 골절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병원마다, 의사마다 x-ray를 보는게 다를수있습니다! 찍는각도에따라서 달라지기도하구요!

    골절이 의심되고 통증이 계속된다면 다른병원에 방문해서 검사를 받아보는것도 좋은방법입니다!

    빨리 몸이 좋아지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수 물리치료사입니다.

    아주 미세한 골절의 경우 엑스레이 사진 상에서도 골절이 명확히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손가락의 상태로 보아 골절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시티와 엑스레이 에서 명확한 골절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초음파에서 뼈의 손상이 보인다면 미세한 골절이나 인대 손상이 있을 수 있어요 손가락을 구부리기 힘들고 통증이 지속된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고 의사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 가능성은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혹시 병원을 한곳에만 간것인지요?? 보통 초음파나 X-ray

    모두 사람이 직접 보고 진단을 내리는 것이므로, 정확히 못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뭔가 통증이

    계속 나오고 불안하면 다른 병원을 찾아가서 추가로 진료를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 지인같은 경우 갈비뼈에 골절이 있었는데, 첫번째 병원에서 괜찮다고 하여 막 생활하다가 더 심

    해져서 예전 엑스레이 사진 들고 다른 병원가니까 골절을 발견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불안하면 다른

    병원도 한번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X-ray와 CT 검사를 통해서 거의 대부분의 골절을 진단 내릴 수 있습니다. 해당 검사들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로 굉장히 미세한 골절이 있을 수 있긴 합니다만, 그 정도의 손상이라면 어차피 시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문제 없이 회복이 될 정도이기 때문에 크게 의미가 없는 정도의 손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CT상 골절이 보이지 않는다면 골절이 아니라고 보시는게 맞겠습니다.

    초음파상에 뼈가 파인게 보이는건 이건 골절 부위가 아니라 정상적인 부위도 보다보면 파여보일 수 있는거라서 이것만 가지고 골절이라고 진단할 수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CT에서 골절이 보이지 않고 초음에는 보이는 상황이네요

    골절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자세한 것은 CT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골절부위가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초음파 소견을 완전히 무시할 수도 없는게 증상은 분명히 있으니까요

    이럴 경우에는 조치를 취한 상태에서 추적검사를 하는 것이 최선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실 CT나 엑스레이로 왠만하면 나오는데 보이지않는다면 굉장히 미세한골절이거나 골절이 아닐확률이 높으니 병원진단처럼 지켜보다가 통증이 더심해지거나 붓거나할때 진료를 다시 보는게 나을듯합니다 많이쓰지마시고 약을드시면서 관리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네 미세 손상같은 경우는 잘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일단 연부조직은 손상이 가셨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우선은 처방 받으시는 약 복용하시고 하루이틀은 냉찜질 해주시고 그후에 상태를 보시고 깁스를 하실지 아닐지 결정하실것 같습니다.

    1~2주는 조심하시면서 최대한 무리 안가게 사용하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말씀하신 증상을 보았을 때, 미세한 골절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X-ray 또는 CT에 명확하게 보이지 않아도 미세골절 또는 스트레스 골절은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이 생겨 뼈가 부으면서 더 명확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구부리기 힘들고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있다면 부상부위의 염증 또는 미세한 골절이 있을 수 있어 상태를 계속 지켜보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유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미세골절의 경우 엑스레이 보다 초음파가 더 정확한 경우가 많습니다. 골절 가능성이 있으니 가능하면 통증 부위를 많이 움직이지 않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만순 물리치료사입니다.

    X-ray나 CT에서 명확히 확인되지 않아 진단 내리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초음파에서 뼈가 파인 것이 보였다면 미세 골절 가능성은 있는 듯 합니다. 가능하면 골절 의심부위를 자극 하거나, 움직이지 않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남 물리치료사입니다.

    골절 가능성도 있지만 타박상이 심해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뼈상태가 다 다르니

    조금 더 지켜보고서 치료받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과같은 작은크기의 뼈는 시간이 경과하여 골절이 확인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골절의심이 되시는 경우 우선은 적절한 치료를 지속하시면서 경과관탈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대부분 CT 나 X-ray 사진으로 골절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나 간혹 찍는 각도에 따라서 골절이 보일수도 안보일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골절이 의심되고 통증이 지속해서 있으시다면 다른 병원에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아 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