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약시 진행사항이 궁금합니다!
허그 전세대출진행예정
매물 오피스텔
보증금 1억8천
임대인 개인
중개인 말로는 허그 및 hf전세대출 보증보험 다 가능하다고 합니다
은행에 확인해보니 입주 한달전에 대출 신청 가능 하다고 했습니다
현재 기존 세입자 때문에 11/24 입주가 가능합니다.
다음주 계약서 작성 예정인데
입주까지 3개월 이나 남았는데
가계약금 5% 지불은 아닌것 같습니다.
전세 대출신청도 1달전에 가능 하다고 하는데
그럼 10월 중순에 신청 해야 함
저는 10월에 가계약금 지불 하여 진행 하고 싶은데
중개인이랑 어떻게 합의를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계약서 작성후 바로 계약금 5%를 지불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 입주도 대출신청도 많은 기간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남은 기간에 관계없이 선점할 가치가 있을 경우 계약하는 것이고 비용은 지불해야합니다
보신 집이 다른 기회를 놓치더라도 꼭 마음에 드신다면 계약하는 것이 좋고 아니면 흘려보내야 합니다
남은 기간에 관계없이 선점하는 것이 계약이고 대출에 필요한 계약금은 5%이상입니다
그 집을 놓치더라도 대안 매물이 풍부할 것 같다면 계약을 미루실 수도 있을 것이고
임대인이 동의한다면 서면계약서 작성을 10월로 미루고 이전까지 계약금의 일부를 맡길 수도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가계약금도 계약입니다. 즉 먼저 매물을 찜하는 역할을 합니다.
통상적으로 가계약을 걸고 다음에 정식 계약을 하고 잔금일자를 통상 한달 정도 두고 진행을 합니다.
아마 중개인은 가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 다른 사람이 가계약 걸면 그쪽으로 가게 된다고 말을 할것입니다.
이것 또한 사실입니다. 일단 전세 계약시 임대인 동의로 대출에 문제가 될 시 계약 해지조건을 계약서 특약에 넣을 수 있는 지 우선 협상을 해보시고, 진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등기부등본 선순위 대출이 있는지도 알아보시고, 중개사님과 협의 사항등을 문자로 주고 받으시는 것도 방법중에 하나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계약 진행 절차는 가계약금은 보통 전세보증금의 5% 정도를 지불합니다. 가계약금은 계약의 의지를 나타내는 금액으로, 계약서 작성 전에 지불할 수 있습니다. 계약서 작성 시에는 전세보증금의 10%를 계약금으로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5%로 합의할 수도 있습니다. 잔금은 입주일에 맞춰 지불하며, 이때 전세대출을 통해 잔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전세대출 관련 사항은 HUG 전세대출은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제공하는 보증 상품으로, 전세보증금의 8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에서도 전세대출 보증보험을 제공하며, 조건에 따라 대출이 가능합니다.
중개인과의 합의는 가계약금 지불 시기는 입주까지 3개월이 남았기 때문에, 가계약금 지불 시기를 10월 중순으로 조정하고 싶으시다면 중개인과 협의하여 가계약금 지불 시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계약금 지불 시기는 계약서 작성 후 바로 계약금 5%를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황에 따라 중개인과 협의하여 지불 시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은 계약서 작성 시 특약사항에 전세대출 불가 시 계약 파기 및 계약금 반환 조건을 명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세대출 후 HUG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여 보증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는 10월에 가계약금 지불 하여 진행 하고 싶은데
중개인이랑 어떻게 합의를 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계약서 작성후 바로 계약금 5%를 지불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현재 계약을 진행하게 된다면 특약조건에 "00보증보험 가입이 불가한 경우 이 건 계약을 취소할 수 있음"이라는 단서조항을 반영한 후 진행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이 확실히 된다고 했으면 지금계약한다고 해도 대출신청을 조금늦게 하시면 됩니다
지금계약을 안하면 나갈수도 있으니 미리 계약을 하는것도 괜찮습니다
계약을 하면 가계약금이 아니고 계약금 5%를 협의해서 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