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근로계약

살짝쿵신비로운뱀
살짝쿵신비로운뱀

사직서가 수리안된시점에서 이직할경우

안녕하세요 이직한 회사에 붙어서 회사에 퇴사를 말하니 사직서를 반려시킨다고합니다 이경우 무단결근으로 처리한다는데 이직하는 회사에 갈수없는걸까요?

제가 이직을 해서 고용보험같은데 이중으로 등록되는것과 이직할 회사에서 전 회사에서의 근로가 아직 안끝났다는걸 확인할수있나요?

노동청에 신고하는건 별다른 효과가없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이직하고자 하는 회사에 출근하여 근무할 수는 있겠으나 고용보험의 이중가입 문제가 발생할 수는 있겠습니다. 회사가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는 경우 민법 제660조에서 정한 바에 따른 기간이 경과하여야만 근로관계가 종료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훈 노무사입니다.

    사직서 수리를 하지 않고 일정기간까지 무단결근처리하는 것은 위법하지 않습니다. 고용보험 이중가입문제가 크지 않다면 이직한 회사에 상황을 이야기하고 다니시면 될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고용보험 가입은 중복이 되지 않으므로 이직 할 회사에서 전 회사에서의 근로가 아직 안끝났다는 걸 알게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다른 4대보험이 중복가입되거나 이직할 회사에서 문제삼지 않는다면 특별히 불이익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신고가 크게 의미가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보입니다. 일단 기존 회차에서 사직을 승인하지 않고

    무단결근 처리를 한다면 일시적으로 이중취업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고용보험은 이중가입이

    불가하므로 새로 이직할 회사에서 알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회사와 더 이야기를 하여

    사직처리를 하거나 어렵다면 미리 이직할 회사에 일정기간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해야 나중에라도 불이익이 없을걸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근로자에게는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어 언제든지 퇴사가 가능합니다. 이전 사업장에서 무단결근 처리로 상실신고를 안 하는 경우에는 근로복지공단에 피보험자격확인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이직할 수는 있으나 이론상 사용자가 무단결근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2. 고용보험은 중복가입이 되지 않으며, 겸업사실을 추측할 수는 있으나 직접적으로 알수는 없습니다.

    3.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노동청에 진정할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