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보증금이 왜 이렇게 비싼 건가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서 월세 는 저렴한 편 이잖아 요 근데 우리나라는 월세 는 저렴해 도 보증금이 비싼데 왜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임대차에서 동일한 매물에 대해 보증금이 높을수록 매월내는 월세는 낮아지게 되고, 반대로 보증금이 낮으면 월세가 높아지게 됩니다. 외국의 경우는 자세히 알지 못하나 보증금이란 개념보다는 렌탈의 개념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보증금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고 그에 따라 월세에 높게 책정될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동일시세를 기준으로 높은 보증금을 지급하게 되면 그만큼 월세를 낮출수 있기 때문에 주거비용 절약의 목적에서는 보증금을 높여 매월 월세를 낮추는게 유리하기 떄문입니다. 보증금은 아무리 높게 주어도 2년 또는 4년뒤 그대로반환을 받는 금액이지만 월세는 한번 지급하면 바로 비용이기에 사실상 보증금을 높이는게 이득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저렴한 월세인지는 비교 나라마다 다릅니다. 오히려 비싼 월세도 많습니다. 보증금이라는 것은 1년치 월세정도라고 볼 수 있으나 실제 전세금에서 일부 보증금을 줄여 월세를 늘리기도 하며 큰 돈이 필요할 때에는 월세보다는 전세를 더욱 늘리기도 합니다.
부동산을 투자함에 있어서 대출을 이용하고 이러한 대출금을 다 갚는다면 좋겠지만 대한민국의 국민들은 대부분 대출을 일으키고 차액에 대해서 전세보증금 등으로 이를 감당하려 하고 있습니다. 나쁘다거나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전세제도에 대해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피해입은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기도 했기 때문에 보증금, 전세금, 임차료 등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때라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임대차 방식에 전세가 있고 월세가 있습니다.
전세의 경우 매매가의 60~70%정도 선에서 형성이 되고 전세를 월세로 전환 시 요즘은 5.25% 즉 금리가 반영된 금액으로 전환이 되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전세와 월세는 같은 금액이라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도 집값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입니다
집값이 그만큼 올랐다는 의미도 됩니다
월세는 금리에 따라서 정해져서 낮아보입니다
예전에는 금리가 낮았고 대출을 많이 해줘서 보증금을 올리는게 더쉬웠습니다
그래서 보증금이 높아진 이유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서 월세 는 저렴한 편 이잖아 요 근데 우리나라는 월세 는 저렴해 도 보증금이 비싼데 왜 그런 건가요?????
==> 우리나라 서울을 기준으로 홍콩, 일본 토쿄" 등 임차조건보다 저렴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보증금과 월세 비율을 임대인이 조절할 수 있습니다.
보증금이 비싸면 월세가 저렴합니다.
임대인이 목돈이 필요하면 보증금 비율을 올리며, 다달이 세 받는 것이 좋으면 보증금 비율을 내리고 월세를 올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