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아이와의 기싸움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건지요?

아이가 벌써 기싸움을 하고 자기 주장이 굉장히 강해지기 시작했는데, 부모 입장에서 너무 강압적인 상황으로 몰아가는것도 말이 안되고, 너무 약해질수도 없고, 어떻게 해결하는게 좋은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자아가 성립이 되었고, 자기주장에 있어서 확고하는 시기에는

    아이의 기를 눌리긴 보다는 아이의 기분을 살피고,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마음을 알아차려 준 후,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하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너무 자신의 고집을 부리고 떼를 부리고 짜증을 내며 화를 낸다면 이는 절대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기 때문에 아이가 이러한 행동을 부모님에게 보였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고집을 부리고 떼를 부리고 짜증을 내고 화를 내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이러한 행동들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더나아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다면 부모님의 이야기를 끝까지 다 듣고, 부모님의 이야기가 끝난 후에 자신의 생각과 감정은 언어로 부드럽게 전달해야 함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와의 기싸움에서 중요한 점은 일관성, 대화, 긍정적인 강화입니다. 부모가 너무 강압적이지 않으면서도 규칙을 지키도록 유도하고, 아이의 감정을 잘 이해해주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명확한 규칙을 설정하고, 그 규칙에 일관되게 따르도록 합니다. 아이가 규칙을 알지 못하거나 혼란스러워 할 경우 기싸움이 더 자주 일어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일관되게 규칙을 적용하는 것은 아이가 혼자서도 자기 행동을 예측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의 기싸움은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이나 권력다툼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고수하거나 반항할 때 부모가는 종종권위를 세우려고 하거나 통제하려고 할 수 있지만 이런 방식이 항상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싸움에서 중요한 점은 권위와 사랑을 동시에 유지하며, 아이가 배우고 성정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겁니다

    일단 아이가 반항하거나 요구를 고집할 때 부모가 감정적으로 반응하면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부모는 냉정하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반응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면서 아이와의 대화를 이어나가세요

    그리고 기싸움이 자주 일어나는 이유 중 하나는 규칙이 모호하거나 일관되지 않아서입니다 부모는 가정내에서 명확한 규칙을 설정하고 일관되게 적용해야합니다

    때로는 아이와 타협을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싸움에서 승리하는 것보다는 아이와 함께 상호협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자아정체감이 확립되고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면서 자기의 생각을 거침없이 표현하며 자기주장이 강해지기도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을 하며 주장을 할때 무시하거나 부모님의 일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면 기싸움에 에너지소비만 커지고 서로의 감정만 나빠지기 때문에 차분한 목소리로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말에 공감이나 이해를 해주고 부모님의 생각을 차분하게 전달하시면서 대화로서 소통을 해나가시는것이 아이또한 받아들이는 것이 빠를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의 기싸움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출지는 부모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아이가 자기 주장이 강해지고, 기싸움을 벌이기 시작하는 시기는 자연스러운 발달 단계로, 자아가 확립되고 독립적인 사고를 하려는 욕구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때 부모는 아이의 요구와 감정을 존중하면서도, 강압적이지 않게, 하지만 무너지지 않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결론적으로, 아이와의 기싸움에서중요한 것은 일관성, 감정 존중, 차분함입니다. 부모가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강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규칙을 일관되게 적용하며,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식으로 소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모의 신뢰와 일관된 태도가 아이의 자아 형성과 감정 조절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다가 아이와의 기싸움을 해결해나가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와의 기싸움을 하는 이유가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단순하게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지기 싫다는 이유로 기싸움을 하게 된다면 이는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은 주지 못할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와의 기싸움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먼저 분석을 해주신 다음에 이게 과연 필요로 하는것인지를 파악하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고집을 부리냐 부리지 않냐가 결정된다고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와기싸움이라고생각하는순간 아이훈육이 감정이되요

    아이가 자립심과주장이강해서그런것이며

    잘못된것만잘 훈육해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아이와의 기싸움에서는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차분히 아이의 말을 들으면서 규칙은 명확히 하되 설명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이해하고 따르도록 유도하늑 것이 좋습니다. 단호하지만 따뜻한 태도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집안에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을 가지고 훈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억지를 부리고 떼를 쓴다고 아이가 원하는 것을 들어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지도하고 교육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