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이 디플레이션인가요?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이 디플레이션이라고 알고는잇는데 이게 무조건 좋은 현상이 아니라고하는데 왜그런건지요? 그래도 나가는돈이 줄어들면 좋은거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떨어지면 단기적으로는 소비 금액이 줄어서 좋아보이지만 디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 경제 후퇴 때문인점을 감안하면 좋은 현상이 

    아니라고 볼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돈이 없고 기업도 투자력이 부족해 구매력이 떨어져서 물가가 내려가는게 보통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경제가 안좋음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속적인 물가 하라기 디플레이션이고 겉보기에는 좋은 현상 같지만 꼭 그렇지 않습니다. 소비가 줄고 기업 매출, 투자가 위축되어 경제 전체가 침체될 위험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디플레이션은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으로 평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장기적으로 떨어지는건 수요문제로 발생됩니다 공급으로 인한 문제는 일시적이며 이는 결국 해결됩니다

    장기적으로 물가 하락은 결국 소득이나 경제성장이없고 수요가 감소하면서 이로인해 경제의 생산량이 감소가 커서 발생되는것입니다

    즉 디플레이션은 실질적으로 보면 P가 아니라 Q의감소로인하여 발생되는게 장기적인 효과이며 이런 현상이 지속 이어진다는건 국내 생산성이 지속 감소되는현상이므로 국가가 역성장하고 있다는걸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디플레이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말씀하신 그대로 물가가 하루가 멀다하고 내려가는 것이 디플레이션입니다.

    가령 질문해주신 분이 차를 오늘 산다고 하시면 1,000만원인데

    내일 사시면 995만원에 사신다고 칩시다.

    매일 5만원씩 내려가게 된다고 하면 (디플레이션으로 인해서)

    선생님이라면 오늘 차를 사실까요?

    아마도 아닐 것입니다. 한달을 기다리면 150만원이 떨어지는걸요!

    (예시일 뿐입니다!)

    즉, 디플레이션이 되면 마찬가지로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내일, 모레, 내년, 내후년에 사면 더 가격이 줄어드니

    그렇게 미루게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전반적이고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디플레이션은 무조건 좋은 현상이 아닐뿐만 아니라 오히려 경제에 매우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정부와 중앙은행이 경계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겉보기에는 나가는 돈이 줄어드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좋은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이 무서운 가장 큰 이유는 경제 전체를 둔화시키고 침체시키는 악순환을 유발하기때문입니다.

    물건 가격이 계속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면 사람들은 소비를 늦춥니다. 소비자들이 물건을 사지 않으니 기업들은 재고가 쌓이고 매출이 줄어듭니다. 수익이 줄어들면 기업은 새로운 투자를 줄이고 생산량도 줄이게 됩니다. 물건을 싸게 팔아야하니 이윤도 점점 줄고요.

    기업의 생산이 줄고 이윤이 감소하면, 기업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직원들을 해고하거나 신규 채용을 줄입니다. 남은 직원들의 임금도 삭감되거나 동결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일자리가 줄고 임금이 깎이니 사람들의 소득이 줄어듭니다. 소득이 줄어드니 물건 가격이 아무리 싸져도 살 여력이 없어 소비는 더욱 위축됩니다. 결국 맨 위에 말했던 것으로 다시 되돌아갑니다. 소비를 늦추는 것이죠.

    이게 계속 반복되는 것입니다.

    간혹 좋은 디플래이션이라는 개념도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흔히 우려하는 디플레이션은 수요감소와 경기 침체로 인해 발생하는 나쁜 디플레이션입니다. 이 나쁜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장기 불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이나 1990년대 이후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대표적인 디플레이션의 악몽으로 불립니다.

    물가 하락이 소비하는 입장에서는 당장 좋을 것 같지만 그것이 경제 전반의 악순환을 유발하여 결국은 소득이 줄고 일자리가 없어지는 더 큰 문제로 이어진다는 것이 디플레이션을 경계하는 이유입니다. 경제 전문가들이 적정 수준의 완만한 인플레이션(예:연 2~3%)이 경제 활력에 더 긍정적이라고 말하는 것도 이런 이유때문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서는 인플레 , 스테그, 디플레이션으로 진행되는데

    스테그로 인해 버블이 터지면 극심한 디플레이션이 온다고 생각하시면 되며

    이는 사람들의 소비 심리가 가장 중요하게작용되어 나타납니다.

    디플레이션의 경우 금리가 낮은데 물가도 낮은 경제에 최악이죠.

    이렇게 되는 이유는 돈을 버는 족족 쓰지 않고 저축하려는 심리가 강할 때 나타납니다.

    돈을 안쓰게 되는 이유가 버블이 터져 최악을 맛 본 세대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죠.

    나라에서 기업들에게 밀어줘서 상품을 만들어도 사람들이 사주지 않으니

    기업들은 점차 소극적으로 변하게 되며 크질 못하게 되어 물가가 정체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처음엔 지출이 줄어 좋아 보이지만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기업 수익 및 임금이 감소해 경기 침체, 실업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물가 하락을 기대한 소비자들이 소비를 미루면 기업들이 생산과 고용을 줄여 악순환이 발생하므로, 단순히 나가는 돈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경제 전체에 부정적 영향이 커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겉으로 보면 가격이 내려가서 소비자 입장에선 돈을 덜 쓰게 되니 좋아 보일 수 있지만, 경제 전반엔 부정적인 영향이 큽니다. 디플레이션이 계속되면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줄고, 이에 따라 임금도 하락하거나 일자리도 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앞으로 더 가격이 내릴 거란 기대에 소비와 투자를 미루게 되고, 경기는 점점 침체됩니다. 즉, 소비자에겐 잠시 살림이 나아진 듯해도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부족, 소득 감소 등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은 소비가 부진하기 때문에 가격이 자꾸 떨어집니다. 이는 기업의 생산감소와 일자리 감소, 고용률 하락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하락합니다.

    이는 나라 경제가 침체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부채위기나 실업 증가 등 문제를 일으킬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전반적으로 지속해서 떨어지는 현상을 디플레이션이라고 해요.


    겉보기엔 물가가 내려가니 소비자 입장에선 좋아 보이지만 문제는 기업의 수익 감소 → 투자 축소 → 고용 악화 → 소득 감소 → 소비 위축이라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거예요.
    이렇게 되면 경제 전체가 침체되고 장기 불황에 빠질 수 있어요.


    그래서 디플레이션은 단순한 물가 하락이 아니라 경기 위축의 신호로 봐서 경계하는 거예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은 디플레이션입니다

    • 단순히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가 퇴보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기 때문에

      실제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소비하는 물가만 싸지는 것이 아닌 그만큼 임금도 더 하락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살기 힘들어지는 것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 물가 하락은 좋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 때에는 물가가 하락하지만 경기침체도 발생하기 때문에 기업의 도산이 늘고, 전체적인 기업활동은 정체하고, 생산의 축소가 이루어진 결과 실업자가 증가합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돈의 가치가 상승하고, 부채의 실질가치 또한 상승하는데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기업들의 상환 부담은 커지게 됩니다. 이윤 감소와 부채 상환부담 증가로 기업이 도산하면 실업이 늘어나고 경기침체는 심화되고 그렇게 총수요는 또다시 감소하고 물가는 더욱 하락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