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환자 식단

쌈박한오릭스46
쌈박한오릭스46

공복이라는 의미가 정확히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우리가 약이나 기타 어떤것을 먹을때 보면 공복에 먹으라는게있는데요. 이 공복이라는게 정확히 뭔지 궁금합니다. 밥만 안먹은 상태?? 기타 다른 것은 먹어도 되나요?? 정확히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영양학적 관점에서 '공복'은 위장이 비어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직전에 식사를 하지 안하 음식물의 소화 흡수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약물 복용이나 검사 시 요구되는 의학적 공복은 더욱 엄격하여, 보통 식전 1시간 또는 식후 최소 2시간 경과를 기준으로 합니다. 이 상태는 음식물로 인해 약물의 흡수가 방해되거나, 약물 작용을 위해 위산 농도가 높아야 할 때 필요합니다. 보통 물이나 첨가물이 없는 차 정도는 허용되지만, 칼로리나 당분이 있는 음료(주스, 우유, 믹스커피) 또는 기타 음식물은 위장 활동을 유발하여 공복 상태를 깨뜨리므로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복이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위가 비어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단순히 밥을 안먹었다기 보다는 이전에 먹은 것 까지 소화가 되서 아무것도 없는 상태입니다.

    식사 후에 2~4시간 정도 지나면 보통 공복상태로 접어듭니다.

    6~8시간 정도면 완전 공복상태입니다.

    그래서 병원에서 건강검진할 때 사람마다 상태 등등이 달라서 10시간 정도 식사를 하지 말라고 합니다.

    그래야 공복상태가 유지되니까요.

    음료, 간식류를 섭취하면 공복상태가 아니게 됩니다. 따라서 피해야합니다.

    물은 소화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상관이 없습니다.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 글 감사드립니다.

    공복이 밥 자체를 안 먹은 상태를 뜻하지는 않아요.

    의학적으로는 위 속에 음식물도 거의 없으며, 소화가 끝난 상태를 말합니다.

    보통 식 후 8시간 이상 지나서 위가 비워졌을 경우를 "완전한 공복"이라고 부르고, 병원에서 혈액검사, 위내시경 전에 요구하는 상태가 이 곳에 해당이 됩니다.

    약을 복용할 경우 공복에 복용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는데, 위에 음식물이 남아 있다면 약 흡수가 방해되고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이럴경우 물, 소금, 약 이외에는 최대한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랍니다.

    커피, 우유, 주스, 껌, 영양제, 사탕도 소화기관을 자극하니 공복의 상태를 깨뜨릴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약은 공복에 복용할 경우 속쓰림, 위통도 유발하기도 하니, 이럴경우 최소한 음식(바나나 1개, 삶은 달걀 1개)을 같이 드셔도 되겠습니다.

    공복은 위에 음식물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고, 물, 소금, 약 정도 허용이 됩니다.

    참조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