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이나 팔꿈치를 쳤을 때 반사적으로 팔이나 다리가 들리는 이유가 뭔가요?
무릎이나 팔꿈치를 톡 치면 반사적으로 다리나 팔이 들리잖아요
이건 왜 그런거에요?
안 들리게 하려고 의식을 해봐도 자동으로 올라가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반사적으로 몸이움직이는건 반사때문에 생기는증상인데요 깊은힘줄반사라고하는 반응인데 좀더정확한건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시길 발반디ㅏ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신경반사 작용 때문입니다 무릎이나 팔꿈치에는 신경이 지나는 특정 지점이 있는 데 이 부분을 치면 척수에서 바로 신호를 보내 근육이 자동으로 수축해요 이 반사는 뇌를 거치지 않고 척수에서 직접 조절되기 때문에 의식적으로 막으려 해도 반응이 먼저 일어나요 그래서 일부러 참으려고 해도 반사적으로 팔이나 다리가 들리는 거에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그 이유는 깊은힘줄반사에 대한 신체의 자연스러운 반응이기 때문입니다.
깊은힘줄반사(Deep tendon reflex, DTR)는 영상장비를 이용한 검사없이 신경학적 문제에 대해 검사를 하는 이학적 검사방법 입니다.
무의식적인 반사가 나오신다면 신경분절에 대한 이상이 없이 건강하신 상태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5개’ 부탁드리며, 건강한 일상을 기원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이나 팔꿈치에 있는 힘줄을 툭 쳤을때 나타나는 심부건반사(Deep Tendon Reflex DTR)검사로 신경계의 기능을 평가할때 사용합니다.
우리몸에 있는 근방추가 순간적인 신경자극을 감지하여 나타나는 반응인데, 무릎은 L2, L3, L4의 신경로를 확인하고 요추 신경 뿌리및 신경 기능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며
팔꿈치는 C5,C6 척수 신경 뿌리 및 근육 피부신경 기능을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의식하지 않고 자동으로 일어나는게 정상이며 문제가 없으신겁니다.
답변이 도움이 돼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저도 대학교에서 반사에 대해 공부하고 실습했을때 신기했던 기억이 있네요 ㅎㅎ
무릎 반사로 설명을 드리면 신장 수용기라 불리는 근방추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신경과 근육의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지 확인할 때 사용되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뇌를 거치지 않고 바로 운동신경을 통해 나오는 반사작용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때문에 우리가 뇌를 사용하여 의식적으로 억제하려고 하더라도 반사작용이 자동으로 나오게 됩니다.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흔히 반사작용이라고 부릅니다.
반사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발적이지도 않으면서 자극에 반응하여 거의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운동]
흔히 무릎과 팔에도 그런 반사작용을 감지하는 일으키는 센서들이 있습니다.
해당 기능이 존재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인데요
1. 의식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너무 많은 동작이 반복되는걸 자동화되게 진화
호흡 하품 등
2.위험한 상황에서 본능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뜨거우면 닿을때 손 혹은 몸을 떼기
추가적으로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셛 됩니다.
환자분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심부건반사 DTR(Deep Tendon Reflex)이라는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감각을 평가하는 검사방법입니다.
이 검사방법으로 신경손상위치를 알 수 있고 아래 사진같은 망치로 무릎 또는 팔꿈치를 톡톡 쳐 검사를 하며, 과하게 반사가 나오면 척수손상, 뇌졸중 등을 중추신경계 손상을 의미하고 반사가 되지않는다면, 말초신경손상 등을 의미합니다.
주로 검사 부위는 상완이두근과 상완삼두근, 무릎(슬개골), 아킬레스건을 툭툭 쳐 검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이야기하시는 현상은 deep tendon reflex라고 하는 반사입니다. 한글로는 건반사라고도 합니다.
근육이 뼈에 붙을때 힘줄 (건) 이라고 하는 구조물을 통해서 붙는데 이 건 부위를 때리면 힘줄과 함께 근육이 늘어나게됩니다.
근육안에 방추체 (muscle spindle)이라고 하는 구조가 이 근육의 늘어남을 느끼고 근육을 수축하도록 반사를 일으키게됩니다.
이게 바로 건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신체에 자극은 주게 되면 척수에 뇌로 전달하는 조건반사와 자극이 척수에 반응을 하는 무조건 반사가 있습니다. 무릎이나 팔꿈치에 자극을 주었을 때 반응을 보이는 것은 무조건 반사로 뇌에서 반응 하는 것 보다 먼저 척수에서 반응을 하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신장 반사로 불리우며 이 반사는 신장에 의하여 생기는 근육의 고유수용기와 건수용기의 흥분이 반사를 일으키는 자극이됩니다.
억지로 참으셔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반사 증상이기에 억지로 참지않으셔도 좋고
반대로 반사 작용이 일어나지않다면 신경전달의 문제로 볼 수 있기에 반응이 나타나는것이 좋은겁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셨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