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사일러스
사일러스

하루살이, 나방 등의 벌레들은 왜 불빛으로 모여드나요?

저녁 때, 하루살이, 나방 등이 조명 기구 주변으로 몰려드는데,

왜 그런 것인가요?

빛을 보고 반응하는 어떤 습성이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루살이, 나방 등 일부 곤충들이 인공 조명을 향해 몰려드는 이유는 두 가지 주된 원인이 있습니다.

    첫째, 이들은 본래 달빛을 향해 길을 찾아가도록 진화해왔습니다. 달빛은 곤충들의 주요 길잡이 역할을 했기에 밝은 인공 조명에 유인되는 것입니다. 특히 수컷 나방은 암컷을 찾아 빛을 따라가는 습성이 있습니다.

    둘째, 빛에 대한 반사 행동 때문입니다. 달이나 인공 조명의 밝은 빛이 곤충의 복합눈에 반사되면 자동적으로 그 방향으로 날아가게 되는 반사 반응이 나타납니다. 이 반응은 새로운 환경을 탐색할 때 유용했지만 인공 조명에는 오히려 혼란을 겪게 됩니다.

    이처럼 달빛을 향한 본능과 빛 반사 행동으로 인해 곤충들이 인공 조명에 몰려드는 것입니다. 일부 곤충에게 인공 조명은 생태계 교란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 하루살이, 나방 등 일부 야행성 곤충들은 자연적인 빛의 원천인 달이나 별빛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곤충들은 비행 중에 빛을 일정한 각도로 유지함으로써 직진 비행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항법을 '트랜스버설 오리엔테이션'이라고 합니다. 또 광타위는 빛에 대한 생물의 자동적인 반응을 말하며, 긍정적 광타위는 빛을 향해 움직이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많은 곤충들이 빛에 대해 긍정적인 광타위를 보여, 밝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본능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 많은 곤충들은 달빛이나 별빛 같은 자연 광원을 기준으로 방향을 잡는데요, 이 광원들은 매우 멀리 있어서 곤충이 일정한 각도로 날면 일정한 방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 조명은 가까운 거리에서 매우 밝기 때문에, 곤충들은 이를 항법 시스템의 기준점으로 착각할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일정한 각도로 날아가려고 할 때 점점 빛에 가까워지며 빛 주위를 맴돌게 됩니다.

  • 나방이나 하루살이들은 시력이 굉장히 약한 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어두운 밤이 되었을때 빛은 나방이나 하루살이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불빛을 향해 날아가게 됩니다. 이를 주광성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건 없고 다양한 추측들만 존재합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곤충이 단순히 빛에 본능적으로 끌린다고 주장합니다. 또 다른 추측은 빛의 따듯함을 이유로 꼽았고 인공 불빛을 평소 비행에 이용하는 자연광과 착각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