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요즘에 부동산 어떤가요?살아나나요?

요즘들어 부동산 뉴스가 거의나오지않네요~대출규제로 조용하다고하는데 어떻게 괜찮아졌나요? 이번에 전세계약만료인데 어찌할지 고민이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창효 공인중개사
    유창효 공인중개사
    대한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규제는 지금도 진행중에 있고, 그로 인해 자금조달시에 이전보다 어려움이 있을수 있습니다. 그렇기 떄문에 주택구매를 고려하시는 경우 자금조달 계획을 잘 세우시고 진행하셔야 할듯보입니다. 다만 기준금리가 인하되었고 추가적인 인하가능성이 높은 만큼 대출시 이자부담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점, 현재 주택거래량 감소에 따라 원하시는 지역내 매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부분은 유리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정치적 불확실성과 경기침체등이 내년까지 이어질수 있다는 부분도 있기에 시장상황이 크게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리스크가 될수 있고, 반대로 2028년까지 주택공급량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전세임대차를 하더라도 이사시에 전세가격상승등이 나타날수 있다는 점도 고려를 하셔야 할듯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는 많이 오르고 거래가 많이 됐는데 요즘은 대출한도규제를 하고 있어서 거의 멈췄다고 보시면 됩니다

    똘똘한 한채를 사기위해 상급지 이동이 많았고 가격도 많이 올라 있습니다

    지금은 거래가 없고 조금씩 내려가고 있고

    지방과 소도시는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아서 미분양이 늘고 있고 가격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부동산시장은 서울지역도 지역마다 거래량과 가격 대하여 차별화가 진행되고 맀습니다

    일부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거래량 마져 곤두박칠하는가 하면 선호지역은 더욱 상승하기고 합니다

    주택담보 대출 규제은 강력히 추잔되고 있습 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하락하였으나 부동산 시장금리는 변동이 없습니다

    현재재 정치가 혼란스럽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도

    악영향을 보여 당분간 관망하시는 것이 지혜로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 규제등으로 부동산 시장은 침체기 입니다.

    대출규제를 아직까지 강력하게 하고 있어서 거래가 실종이 되고 매우 어려운 환경입니다.

    현재 계엄령 문제로 진보 정권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는데 진보 정권은 통상적으로 규제를 강하게 하지만 시장에 유동성을 좋게 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부동산은 상승하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KB 주택가격동향조사에 의하면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가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세가격도 상승세가 줄어든 상황입니다. 서울도 거의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최근의 악화된 경제상황과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정책으로 주담대 금리가 떨어지지 않고 있어서 인데, 내년 초가 되면 대출상황이 약간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트럼프 전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함에 따라서 관세장벽과 세금삭감등이 예상되어 향후 금리인하가 쉽지 않아 보이는 점이 걸림돌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건설원가의 증가와 주택공급부족 등으로 서울과 수도권을 위주로하여 주택가격이 상승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경제상황과 금리, 정부의 정책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침체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기준 금리는 인하되었지만 주담대 금리가 인하되지 않은 상황이며 스트레스 DSR 시행으로 매수세가 없는 형국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은 원자재 값 상승과 인건비 증가 및 부동산 수요 둔화로 침체기를 겪고 있습니다.

    2025년도에도 비슷하게 건설 경기가 나쁠 것이라 생각합니다.

    직전 가격 상승에 대한 피로감이 높고 추가적인 상승의 의문이 드는 시기입니다.

    실거주 목적이라면 부동산을 매수해도 되지만 투자 목적이면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전체적으로 거래량이 많이 줄고있고 하락계약이 속출하고 있는것으로 보아 최소1년정도는 하락세일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