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빨간오리198
빨간오리198

하루만 근무날짜를 바꾸었을때의 주휴수당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작년에 퇴사한 가게의 주휴수당을 계산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저는 주말 알바로 토요일 9시간, 일요일 9시간씩 근무하여 주당 총 18시간을 근무했습니다.
이 경우, 매주 주휴수당으로 30,754원이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주에 일요일 근무를 개인 사정으로 못하고,
대신 다음 주 화요일에 9시간을 근무했습니다.

이렇게 된 경우,

다음 주 화요일 근무 시간그 주 토요일·일요일 근무 시간을 합산해서 주휴수당이 책정되는 것인가요?

제가 사용하는 어플에서는 화요일이 포함된 주에 주휴수당이 30,754원이 아닌 46,176원으로 계산되었는데,
이 금액이 맞게 책정된건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주휴수당은 실 근로시간이 아니라, 애초에 근로를 제공하기로 근로계약서 등에 정한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발생합니다. 이에, 추가로 소정근로일이 아닌 날에 근로를 제공하였다 하더라도 추가적으로 주휴수당이 더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일요일 결근이니 그 주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고, 화요일 근로에 대한 임금을 받는다고 해도 주휴수당은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늘어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주휴수당은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한 계약서상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일부 주에 대하여 근로일 및

    근로시간의 변경이 있더라도 주휴수당의 경우 계약서로 약정한 소정근로시간인 30,754원으로 산정되는게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병훈 노무사입니다.

    대체근무가 이루어진 경우라면 주휴수당은 그대로 지급해야합니다.

    18시간에 대한 주휴수당이 아닌 16시간/40시간x8= 3.2시간분이 지급됩니다.

    일8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은 소정근로가 아닌 연장근로또는 기간제법상 초과근로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