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물가가 점점상승하는데 다시싸지는경우는없겠죠??

보살입니다.요즘 너무물가가비싸는데 요앞전엔 귤이좀 싸졋던데..다시올랐네요 약간의 가격변동은 있어도.확저렴해지진않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장우 공인중개사
    조장우 공인중개사
    누리부동산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는 한번 오르면 더 내리지 않습니다. 지난 몇 십년 동안 그래왔으며 원자재가 떨어졌다 하더라도 한번 올라간 가격은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기름값의 경우 물가와 별개로 저렴해지기도 하고 올라가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상품의 가격은 한번 오르면 다시금 내리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짜장면을 보면 쉽습니다. 이전에 1500원 2500원 3000원 하던 짜장면도 어느새 4000원 5000원 하더니 벌써 10000원 정도 하는 곳도 있더라구요. 참 쉽지 않는 세상에 살아가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한번 올라간 물가는 잘내려오지 않지만 야채나 과일종류는 수확이 잘될때는 조금씩 저렴해질수는 있습니다

    이상기온이 없어야 되는데 점점이상기온이 잦아진다면 물가는 더오를것으로 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는 상승하는게 맞지만, 이와다르게 물가가 오히려 하락하는 현상도 있습니다. 이를 경제용어로 디플레이션이라고 하고, 대표적으로 일본의 경우가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다만 질문에서 말하는 과일이나 채소등은 사실상 해당 년도 작황량에 따라서 가격 상승의 가능성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확량이 크게 상승하는 경우 하락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상승율은 경제가 발전하면 당연히 올라가게 게됩니다

    적정물가상승율이란 예측하기어렵지만

    1.5-2%이내가 적당할 것 같습니다 물가는 수요와 공급에 의거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에 시장의 수급급 여부애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귝내의 물가의 영향 뿐 만 아니라 국제정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환율변동과 함께 고심하게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은 어느 정도 적정가격을 유지하는 것이것이 경제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과거를 볼때 한번오른 물가는 계속 상승하였습니다. 지속적으로 화폐가치도 하락하기 때문 입니다.

  • 보살입니다.요즘 너무물가가비싸는데 요앞전엔 귤이좀 싸졋던데..다시올랐네요 약간의 가격변동은 있어도.확저렴해지진않겠죠??

    ==> 네 그렇습니다. 현재 노지 감귤 판매가 끝물이고 내년 설 연휴 등을 기점으로 가격이 최고로 정점을 찍은 후 내려가겠지만 이 기간까지는 계속해서 높은 가격으로 거래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자본주의는 인플레이션을 용인해야 유지 가능한 이념입니다.

    물가는 돈이 풀리면 저절로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는 기본적으로 공급과 수요, 생산 비용,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변동합니다. 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많지만, 전반적으로 가격이 다시 크게 내리는 일은 드문 경우입니다. 하지만, 특정 품목에 따라 가격이 다시 떨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물가가 계속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시적인 가격 변동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가나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거나 농산물의 수확량이 좋을 경우 물가가 잠시 하락할 수 있지만, 큰 폭으로 지속적으로 저렴해지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즉, 지속적인 물가 하락보다는 변동성이 있을 수 있지만, 큰 폭으로 가격이 저렴해지는 일은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