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세심한향고래249
세심한향고래249

결혼할때 집을 구하는게 기본이잖아요. 보통 신혼부부분들은 집값으로 어느정도 생각하고 준비하시나요?

결혼할때 집을 구하는게 기본이잖아요. 보통 신혼부부분들은 집값으로 어느정도 생각하고 준비하시나요. 대출로 포함해서 3억정도는 너무 많이 생각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예정자들 마다 소득이나 상황이 다르고 부모님의 지원여부도 차이가 있고, 신혼집을 구하는 지역 내 주택시세차이가 있기에 지역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질문에 해당하는 관련기사에 따르면 한 결혼정보회사가 지난 해 결혼한 1000쌍의 결혼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결혼비용은 2억 3.186만원이였다고 하며, 이중 73%에 해당되는 1억 7503만원이 주택을 마련하기 위한 비용이였다고 합니다. 이를 기준으로 3억의 주택마련 비용은 평균이상으로 보이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요즘 3억 원은 전혀 과한 수준이 아닙니다.

    보통 3억 원 준비해서 집 마련하는 것은 보통 수준이며 이 중 일부는 대출을 활용하는 구조입니다.

    신혼부부가 3억 원 (자기 자금 + 대출 포함)을 생각하는 건 평균적이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결혼을 준비하면서 집을 구하는 건 정말 중요한 부분이고, 많은 예비 신혼부부들이 가장 큰 고민을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3억 정도를 생각하고 계신다고 하셨는데, 과한 금액은 아닙니다

    다만, 지역, 주거 형태, 자금 조달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한국부동산원·통계청·국토부 등의 자료 기준으로, 신혼부부들이 마련하는 집값 예산은 보통 2~3억 원대가 평균입니다

    서울이나 수도권은 매매보다는 전세가 많은데, 전세도 2억~3억 이상이 일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평균적으로 2~3억 사이를 목표로 많이 준비합니다. 전세 또는 중소형 아파트 매매 중심입니다.

    자기자금 3억원이면 요즘 수도권 외곽 또는 지방 중심이면 무난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 결혼할때 집을 구하는게 기본이잖아요. 보통 신혼부부분들은 집값으로 어느정도 생각하고 준비하시나요. 대출로 포함해서 3억정도는 너무 많이 생각하는건가요?

    ===> 신혼부부의 임차조건은 부모님의 지원여건 등을 고려하여야 하고 개인별 여건에 따라 통상 3-4억원 정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사람마다 경제적 상황, 소득, 지역등이 다르기에 일관되게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1억 안되는 금액으로 시작하는 분들도 계시고 10억 정도 집도 알아 보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주거의 문제는 아주 주관적이어서 말씀하시는 3억이 될 수도 있고, 재정적인 여유가 있는경우 10억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평균은 있습니다. 통계 기준으로는 대출 포함 최대 4억 최저 2억 정도는 고려하는 것으로 나오네요.

    그러므로 요즘 기준에서 질문자님이 생각하시는 3억원은 전혀 큰 금액은 아닙니다. 다만, 신혼 부부가 소득을 통해 빌릴 수 있는 금액인가가 중요한 내용인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출 포함 3억이라면 신혼부부들이 결혼 시 가장 많은 비중으로 집 가격을 부담하는 구간이라 보시면 됩니다.

    서울, 수도권이라면 3억원에 내가 100% 마음에 드는 곳은 힘드실 수 있으며 지방이라면 조금 여유 있으실거 같습니다.

    대출에 대한 향후 상환 계획을 꼼꼼하게 세우시고 좋은 집으로 결정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신혼부부 가정 소득이나 형편에 따라서 다 다릅니다.

    위의 경우 대출 포함해서 3억일 경우 한달 소득 대비 원리금은 50%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즉 월급 받아서 생활비 쓰고 저축 빼고 그래도 남는 금액으로 대출 원리금 갚아야 하나 금리가 아직 높고 대출 갚는데 포지션이 클 경우 생활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부부 월 수입에서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대출원리금 정도의 대출을 내어서 신혼집을 준비를 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