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꽤장엄한코끼리
꽤장엄한코끼리

이제 앞으로 10년 후에는 전기차가 대세인가요?

몇년전만 해도 전기차가 대세가 될거라고 했는데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면서 전기차 인기가 내려가고 기존 내연기관이 계속 인기를 끕니다. 10년 후에는 전기차가 대세가 될까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왕나비257
    느긋한왕나비257

    걱정하시는 대로 최근 몇 년간 전기차 시장은 '캐즘(Chasm, 일시적 수요 정체 구간)'에 진입하며 예상보다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당선 가능성과 그의 전기차 지원 정책 철회 시사 발언 등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10년 후(약 2035년)를 내다본다면, 여전히 전기차가 자동차 시장의 '주류(대세)'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앞으로 10년은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따라잡는 결정적인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트럼프발 정책 변화충전 인프라 부족 문제가 전기차 전환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10년 후) 기술 발전, 배터리 가격 하락, 그리고 전 세계적인 환경 규제라는 거대한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으므로, 전기차가 자동차 시장의 '대세'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다만, 내연기관차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고 특정 시장이나 중고차 시장에서는 계속 존재할 것입니다.

    편안한 오후 되세요^^

  • 배터리 충전 속도, 배터리 안정성 등

    배터리 문제가 해결이 되어야 전기차가 대세가 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는 내연기관차를 많이 선호하는 편입니다

    10년안에 배터리의 큰 발전이 있으면 전기차가 주도하는 시대가 올 것 같습니다

  • 앞으로 10년 정도가 지나게 된다면

    베터리에 대한 기술도 발전하고

    전기차에 대한 단가도 낮아질 수 있기에

    10년 뒤라면 정말 대세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전기차 보조금 지원이 많을때는 가성비를 생각해서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 붐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보조금이 줄어든 지금과 배터리 화재와 사고사례 등에 의해 내연기관 자동차의 수요량이 많아진게 사실입니다. 10년후에 보조금이 얼마나 지원되는지와, 배터리 성능과 보장성이 확립된다면 전기차의 장점도 뚜렷하기에 대세가 될 가능성은 여전하다 생각됩니다.

  • 제가 생각하기에도 10년후면 전기차가 대세가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특히 유럽국가들은

    친환경차에 대해 각종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그리고 디젤이나 가솔린차에대해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분위기 입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이구요 그러므로 10년후에는 전기차가

    대세가 될것 같아요

  • 10년후에 전기차가 대세가 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생각이 드네요. 전기차가 대세가 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사항들이 여러가지가 있으니까요.

    전기차 배터리 화재 문제나 충전 시간 등 이런 문제가 해결되야 대세로 떠오르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 아무래도 10년후에는 지금보다 배터리 기술도 전기차 충전 기술도 또 전기차 인터페이스 기술도 자율주행 기술도 모두 발전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안정성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부분을 고려하면 10년후에는 대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10년 후에 전기차 비중이 크게 늘어서 대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계적으로 배출가스 규제 강화, 배터리 기술 발전, 충전 인프라 확충이 진행중이고, 유럽과 중국, 한국 등 주요 국가가 내연기관 판매 제한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정책 변화, 원자재 가격, 소비자 수용도에 따라 내연기관과 전기차 공존하는 시기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