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성숙한꿩234
성숙한꿩234

전월세 시장도 성수기, 비수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전세를 내놨는데 문의가 전혀 없는거 같습니다. 혹시 전월세 시장도 시기적인 성수기, 비수기가 따로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이자 부담때문에 빨리 세입자를 구하고 싶은데 쉽지가 않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은 전월세 수요의 경우도 성수기와 비수기가 있습니다. 보통은 3월 신학기를 대비해 1,2월에 거래량이 많고 가을철 결혼 비율이 높은 만큼 이사철인 9월~10월이 성수기 입니다. 비수기의 경우는 매매시장에서 거래가 가장 적은 시기인 5~6월이 이에 해당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월세 시장도 성수기와 비수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패턴을 보입니다

    성수기: 1월, 2월, 3월, 10월, 12월

    비수기: 4월부터 9월까지, 특히 6월~8월

    성수기에는 전월세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학교의 새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이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수기에는 전월세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패턴은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지역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학군이 좋은 지역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차이가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입자를 빨리 구하려면 성수기에 맞추어 전세를 내놓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시기가 비수기라도 세입자를 구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예전에는 봄,가을이 성수기였다면 언젠가부터 아이들 방학때가 주로 이사를 했었는데 요즘은 이도저도 아닌거 같습니다

    경기가 너무 안좋다보니 이사를 안하고 왠만하면 눌러 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월세가 안나가는것은 전체적인 현상인거 같습니다

    그래도 구정이 지나고 나면 더좋아지리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인 아파트는 보통 겨울에 이사를 좀 안하는 편이고,

    학군지 아파트라면 그럼에도 방학시즌에 수요가 좀 있습니다.

    일반 주택등은 크게 시기를 타지 않고 한여름, 한겨울만 좀 없는 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봄과 가을이 성수기, 여름, 겨울이 비수기였습니다.

    현재도 비슷하긴 하지만 방학때도 이사를 많이 합니다. 경기가 호황이면 매매, 임대차가 활발하게 움직이는데 경기가 침체되면 부동산 경기도 침체되 이동이 줄어 듭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전월세 시장에도 성수기와 비수기가 있습니다. 전월세 시장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변동하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월세 가격과 임대 수요가 변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대학가의 경우는 입학시즌 방학 끝날때쯤이 성수기이고 초등학교 근처도 입학시즌이나 학년이 바뀔때가 그렇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